한은 "'부산·제주·서울·강원, 타 지역 대비 기준금리 인상 충격 커"…이유는

2023-06-26 14:14
  • 글자크기 설정

[한은 골든북] 제조업 비중 낮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 영향 크게 받아

고령인구 비중·가계부채·소득도 영향…"지역별 맞춤 미시정책 필요"

[사진=아주경제DB]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부산광역시와 제주도, 서울특별시와 강원도 등이 국내 타 지역 대비 기준금리 조정 충격을 더 크게 받는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반면 울산광역시 등은 상대적으로 통화정책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추정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국은행은 26일 2023년 6월 지역경제보고서(골든북)상의 '통화정책 충격의 지역별 영향 분석'을 통해 "통화정책은 물가와 경기, 금융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되는데 해당 정책이 지역별 산업과 소득구조 등에 따라 그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간 통화정책 영향을 차별화하는 요인은 크게 △제조업 비중 △소득 규모 △고령인구 비중 △가계부채 비율 등 4가지다.

한은에 따르면 우선 제조업 비중이 낮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 충격을 크게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2021년 기준 전국 지역별 제조업 비중을 살펴보면 울산광역시가 61%로 16개 시도 중 가장 높았고 충남(54.1%), 충북(51.5%)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의 제조업 비중은 3.1%로 가장 낮았다. 그 뒤를 이어 제주(4.2%)와 강원(10.5%), 부산(17.2%) 순으로 파악됐다. 

한은은 "지역별 제조업 비중에 따른 통화정책 충격 반응을 종합생산과 소매판매액, 취업자 수를 중심으로 자체 추정한 결과 종합생산지수는 충격이 발생한 직후(1분기 이후)부터 상위지역과 하위지역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면서 "소매판매액지수는 제조업 비중 상위지역이 영향을 더 빠르게 크게 받지만 금세 회복했고 취업자 수도 제조업 비중이 큰 지역 영향이 더 작았다"고 설명했다. 

또 소득이 낮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 충격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추정됐다. 2021년 기준 지역별 1인당 소득수준(GRDP 1인당 총소득) 통계를 보면 역시 울산광역시가 6000만원 이상으로 가장 높은 소득수준을 기록했고 충남이 5000만원 후반대, 서울과 전남이 4000만원 후반으로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대구광역시와 광주광역시는 1인당 소득이 3000만원 이하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부산광역시도 평균 2965만원 수준으로 16개 시도 중 세 번째로 낮았다. 이에 대해 한은은 "소득 상위지역일수록 생산과 소비, 고용 등에서 영향을 더 적게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고령화 이슈 역시 각 지역별 통화정책 영향에 충격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됐다. 한은이 국소투영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고령인구 비중이 높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 충격 영향이 더 크다고 봤다. 지역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2022년 기준)은 전남이 23.9%로 가장 높았고 경북(23.3%)과 전북(22.7%), 강원(22.2%), 부산(20.9%)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부산의 경우 고령인구 비중이 전국 7개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 밖에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한은 관계자는 "소비의 경우 가계부채 비율 수준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생산은 가계부채가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고용은 부채비율이 낮은 지역에서 통화정책 충격 영향이 더 컸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취업자 수는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통화정책 영향이 작은 것으로 분석됐다"며 "이는 가계이자 부담 증가로 인해 노동공급이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성변수 및 지역별 통화정책 영향 분포 [사진=한국은행]

한은은 이번 결과에 대해 소득규모와 가계부채 비율은 기존 연구결과와 대체로 유사한 방향이었던 반면 제조업 및 고령인구 비중은 다소 상이한 결과였다고 평가했다. 또한 통화정책 영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추정된 부산과 제주는 해당 기준에서 3가지 변수에 해당되고, 서울·강원은 두 가지 변수가 영향을 받는 상위 25% 지역이라고 밝혔다. 실제 해당 지역들은 코로나 팬데믹 당시 충격이 상대적으로 컸던 곳이기도 하다.

이번 결과에 대해 한은 측은 "통화정책 파급효과가 지역별로 상이해 특정지역에 과도한 경기둔화 등이 예상될 수 있는 만큼 지역별로 적절한 미시적 정책 대응수단의 활용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면서 "재정정책과 같은 적절한 정책협력을 통해 지원하고 통화정책 측면에서는 지방중소기업 지원자금 등을 보완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