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6번 올랐다"...갑진년에도 증시 '1월 특수' 기대

2024-01-02 05:00
  • 글자크기 설정
그래픽아주경제
[그래픽=아주경제]
국내 증시가 갑진년 첫 시작을 위한 출발대에 선 가운데 시장의 관심은 '1월 효과'에 쏠려 있다. 확실한 호재성 이슈 없이도 정책이나 실적 기대감 등으로 지수 랠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증권가에서도 완화된 통화 정책으로 인해 코스닥 성장주에 연초 효과가 집중될 것으로 보고 있다.

1일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2014년 이후 지난해까지 10년간 집계된 코스피·코스닥지수의 1월 실적을 취합한 결과 양 지수는 총 10회 가운데 6회에 걸쳐 상승 마감했다. 확률로 환산하며 60%로 내릴 확률보다 오를 확률이 더 높다. 기간을 더 늘려도 1월에 상승한 해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수익률 측면에서는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동일하게 5회씩 우위를 점했다. 그러나 양 지수 모두 상승 마감한 4차례(2015년·2018년·2019년·2023년) 1월의 경우 코스닥이 2019년을 제외하고 모두 상대적 우위를 가져갔다.
 
가장 최근인 지난해에도 1월 한 달 코스피지수가 8.44% 오르며 2001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지만 이 기간 코스닥지수는 9.01% 상승하면서 코스피 성적을 웃돌았다.

물론 1월을 계절성 이벤트로 봐서는 안된다. 지수가 급락한 사례도 있다. 실제 금리인상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22년 1월 코스피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10.56%, 15.58% 폭락하는 등 다른 달 대비 극도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을 거치면서 1월 효과는 더욱 희석되고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대유행을 거치면서 산업 구도가 바뀌고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공급망 확보 경쟁이 심화하며 세계 각국의 경제가 탈동조화 하는 현상이 가속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0년 이후 집계된 총 4번의 1월 시장 수익률을 취합한 결과 코스피지수는 2회, 코스닥지수는 1회 상승하는 데 그쳤기 때문이다.
 
올해는 첫 장을 앞두고 1월 계절적 특수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전향적으로 바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정책이 지수 상승 동력이 될 것으로 입을 모으고 있다.
 
이와 함께 오는 4월 예정된 이벤트들도 1월 증시에 대한 기대감을 확대하고 있다. 우선 2023년 4분기 실적시즌이 4월 1일에 끝난다. 국내 상장사들이 대부분 12월 결산 법인인 점을 고려하면 1분기 말까지는 사업보고서를 제출해야 한다.  
 
실적시즌이 끝나면 총선이 치러진다. 굵직한 자본시장 현안에 대한 정책적 수혜가 선반영될 수 있다. 정부와 금융당국은 이미 지난해 말 공매도 금지, 대주주 요건 완화 등 굵직한 자본시장 개선안을 발표, 시행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세부적으로 연초 기대감이 강하게 반영되는 코스닥시장에서 투자 기회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더불어 주식 유형 별로는 가치주보다는 성장주가 유리하고 전략적인 측면에서는 1분기 코스닥 비중을 확대한 이후 줄여나가는 방식이 적절할 것이라는 견해가 형성되고 있다.
 
김수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1월 주식시장을 움직이는 동력은 여전히 미국의 금리인하 기대일 것"이라며 "2020년 이후 몇 년 만에 글로벌 유동성의 방향이 바뀌는 것이어서 영향력도 크고 오래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여기에 한국 특유의 1월 효과가 더해질 것"이라며 "성장주 중심의 코스닥지수는 연초에 기대감이 높아졌다가 연중에 사그라들기 때문에 1분기 실적이 가시화되는 3월 이전까진 비중을 높였다가 연중에 줄이는 전략을 시도해볼 만하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