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못 믿을 공시, 책임자는 없고 피해자만 남았다

2023-11-23 14:50
  • 글자크기 설정
지난 8월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앞에서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가 연 불법 공매도 조사 촉구 집회 모습 사진연합뉴스
지난 8월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앞에서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가 연 불법 공매도 조사 촉구 집회 모습. [사진=연합뉴스]

주식시장이 못 믿을 정보로 혼란하다. 공시는 투자자가 기업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최소한의 장치다. 투명성과 신뢰성이 반드시 뒷받침돼야 한다.

시장에선 상장사의 불투명한 공시로 비판이 들끓고 있다. 지난 8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파두는 의도적으로 부진한 실적을 숨겼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기업공개(IPO)는 말 그대로 주식을 팔아 기업 경영을 공개하는 것이다. 파두는 최소한의 IPO의 의의조차 지키지 않았다.
피해는 고스란히 개인투자자에게 돌아갔다. 파두의 '어닝 쇼크'가 알려진 날 주가는 하한가로 직행했다. 파두의 소액주주 수는 약 10만명이다. 하한가에 개인투자자가 손 쓸 틈은 없었다. 파두에 투자한 사모펀드(PEF)는 보유 지분을 처분했다. 실적이 발표되기 직전이었다. 정보 비대칭이라는 문제제기는 불가피하다.

대세가 된 테마 업종을 신규 사업에 추가하는 것도 신뢰하기 어려운 정보가 됐다. 시장에서 바이오 테마 열풍이 불면 기업들은 바이오를 신규 사업에 추가했다. 관련성이 없는 기업이 바이오·헬스케어 상장사를 인수해 주가를 띄우기도 했다. 인공지능(AI)이 대세일 땐 신규 사업에 AI를 언급했고, 이차전지 급등세가 나타나자 이차전지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힌 곳이 적지 않다. 신사업 성과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실적 악화, 소송 제기 등 불리한 내용을 뒤늦게 알리는 '늑장 공시'도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도 어김 없이 '올빼미 공시'도 이어졌다. 연휴 직전 악재성 내용을 공시해 연휴가 끝난 직후 주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이 역시 개인투자자가 대응할 시간이 부족하다.

주식시장에서 개인투자자는 불리한 입장에 놓여 있다. 개인이 발행기업의 회계와 사업정보를 직접 확인하기엔 한계가 있어서다. 당연히 기업이 공개하는 정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투자에는 자기책임 원칙이 따른다. 의사결정은 결국 투자자 몫이다. 그러나 투자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가장 투명하게 공개돼야 할 최소한의 정보가 신뢰를 담보하지 못한다면 과연 자기 책임 원칙을 질 투자자가 있을까.

불투명한 정보 공개에 대한 책임을 누구도 지지 않는다면 그 시장에 투자할 투자자는 아무도 없다. 이제부터라도 불성실한 상장사에 대한 책임을 묻는 방법을 고민해야 될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