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거대한 지정학적 도전을 맞이한 때일수록 한국, 미국, 일본이 동북아와 그 너머의 평화와 상생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7일 SK그룹에 따르면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인 최 회장은 5일(현지시간) 학술원이 미국 워싱턴DC 인근에서 개최한 ‘2022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PD)’에 참석해 한·미·일이 세계적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지난해 처음 열린 TPD는 한·미·일 3국의 전·현직 고위 관료, 세계적 석학, 두뇌집단(싱크탱크), 재계 인사들이 모여 동북아·태평양 지역 현안을 논의하고 경제·안보 협력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집단지성 플랫폼을 표방한다.
올해는 국제 정세에 불확실성이 증대됨에 따라 △미·중 전략 경쟁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국의 글로벌 전략 △북핵 위기 △첨단과학 혁신이 지정학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공급망의 미래와 인플레이션 등을 주제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최 회장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글로벌 공급망 문제 등 지정학적 도전에 직면해 있는 지금 한국과 일본은 단순히 관계 개선을 넘어 글로벌 차원에서 기후변화를 비롯한 인류 공통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고 공동 연대를 제안했다.
이날 행사에는 조태용 주미 대사, 도미타 고지 주미 일본대사가 함께 자리했고 존 아이켄베리 프린스턴대 석좌교수,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 후지사키 이치로 나카소네 평화연구소 이사장 등 미국과 일본 인사들이 다수 참석했다.
이를 두고 재계에서는 3국 석학들이 ‘한·미·일 3국의 집단지성 플랫폼’이라는 최 회장 구상에 공감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복잡해진 국제 정세와 공동 과제 해결을 위해 상호 협력과 정책 공조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최종현학술원 측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한·미·일 3국이 공고한 대화 채널을 구축하고 범태평양 지역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SK그룹 관계자는 “최 회장은 올해만 미국을 세 번째 방문하는 등 민간 경제외교에 주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베이징포럼, 상하이포럼, 도쿄포럼 등 범태평양 국가에서 운영해 왔던 민간 외교 플랫폼을 활용해 민간 경제외교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7일 SK그룹에 따르면 최종현학술원 이사장인 최 회장은 5일(현지시간) 학술원이 미국 워싱턴DC 인근에서 개최한 ‘2022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PD)’에 참석해 한·미·일이 세계적인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지난해 처음 열린 TPD는 한·미·일 3국의 전·현직 고위 관료, 세계적 석학, 두뇌집단(싱크탱크), 재계 인사들이 모여 동북아·태평양 지역 현안을 논의하고 경제·안보 협력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는 집단지성 플랫폼을 표방한다.
올해는 국제 정세에 불확실성이 증대됨에 따라 △미·중 전략 경쟁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미국의 글로벌 전략 △북핵 위기 △첨단과학 혁신이 지정학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공급망의 미래와 인플레이션 등을 주제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날 행사에는 조태용 주미 대사, 도미타 고지 주미 일본대사가 함께 자리했고 존 아이켄베리 프린스턴대 석좌교수, 커트 캠벨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인도·태평양 조정관, 후지사키 이치로 나카소네 평화연구소 이사장 등 미국과 일본 인사들이 다수 참석했다.
이를 두고 재계에서는 3국 석학들이 ‘한·미·일 3국의 집단지성 플랫폼’이라는 최 회장 구상에 공감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복잡해진 국제 정세와 공동 과제 해결을 위해 상호 협력과 정책 공조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는 것이다. 최종현학술원 측은 이번 행사를 통해 한·미·일 3국이 공고한 대화 채널을 구축하고 범태평양 지역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는 데 의미를 부여했다.
SK그룹 관계자는 “최 회장은 올해만 미국을 세 번째 방문하는 등 민간 경제외교에 주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베이징포럼, 상하이포럼, 도쿄포럼 등 범태평양 국가에서 운영해 왔던 민간 외교 플랫폼을 활용해 민간 경제외교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