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충 中 유엔 대사 "한반도 긴장·대립 고조…매우 우려"

2024-06-01 21:24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푸충(傅聰) 유엔 주재 중국 대사가 고조되는 한반도 긴장과 대립을 매우 우려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푸 대사는 지난달 31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북핵 문제 공개회의에서 "중국은 북한이 최근 위성을 발사한 것과 관련국들의 반응을 주목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모든 당사국에 냉정과 자제를 유지해 긴장을 고조시키고 대립을 격화하는 어떤 언행도 피하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과정을 추진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 글자크기 설정

8월 예정 핵전쟁 대응 한·미훈련 반대…"한반도 전쟁 발생 위험 높여"

푸충 유엔 주재 중국 대사 사진연합뉴스
푸충(傅聰) 유엔 주재 중국 대사 [사진=연합뉴스]
푸충(傅聰) 유엔 주재 중국 대사가 고조되는 한반도 긴장과 대립을 매우 우려했다고 중국 관영 신화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푸 대사는 지난달 31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북핵 문제 공개회의에서 "중국은 북한이 최근 위성을 발사한 것과 관련국들의 반응을 주목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모든 당사국에 냉정과 자제를 유지해 긴장을 고조시키고 대립을 격화하는 어떤 언행도 피하고,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과정을 추진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 문제의 본질은 안보 문제이며, 냉전의 잔재와 평화 체제의 부재, 미·북의 신뢰 부재에서 비롯된다"고 강조했다.

중국은 또 오는 8월 진행될 한·미연합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UFS·을지프리덤실드)에 대해 반대 의사를 나타냈다.

한·미 훈련이 긴장만 고조시키고 한반도 전쟁 발생 위험을 높이며, 한반도의 항구적 안정을 지향하는 목표를 더욱 어렵게 만들 뿐이라는 것이다.

한·미는 지난해 12월 미 워싱턴DC에서 열린 제2차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를 통해 올해 8월 UFS 때 북한의 핵무기 사용을 상정한 핵 작전 시나리오를 포함해서 훈련하겠다는 계획을 마련했다.

유엔 안보리의 대북 제재와 관련해 푸 대사는 "안보리의 한반도 문제 처리는 사태 완화와 신뢰 증진, 단합에 도움이 돼야 한다"면서 "제재 압박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는 "미국이 진정으로 현재 교착 상태를 타개하고 싶다면 군사훈련 같은 압박 수단을 중단하고 진정성을 보여 한반도 정세의 조속한 전환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푸 대사는 지난달 합동 군사훈련을 위해 필리핀에 중거리 미사일 발사 장치를 일시 전개한 미국이 연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중거리 미사일을 상시 배치하겠다고 공언한 것도 비판했다.

그는 미국을 겨냥해 "군사동맹을 내세워 군사적 대결을 부추기며 지정학적 사익을 도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개의 댓글
0 / 300
  • 전라도는머리통에미사일이ㄸ니떨어져머리가깨지고피가날것이다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1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