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백화점은 더현대서울이 개점 이후 1년 6개월간 총 150여 개 신진 토종 패션 브랜드를 선보였다고 7일 밝혔다.
더현대서울은 지난해 오픈 당시 ‘쿠어’ ‘디스이즈네버댓’ 등 온라인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끈 국내 패션 브랜드 13개를 업계 최초로 입점시킨 것을 비롯해 지난달까지 국내 신진 패션 브랜드 팝업스토어 140여 개를 연이어 선보였다.
MZ세대가 선호하는 새로운 브랜드가 잇따라 들어서며 더현대서울을 이용하는 고객층은 크게 젊어졌다. 더현대서울 오픈 후 연령대별 매출 비중을 분석한 결과 20·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54.2%로 더현대서울을 제외한 현대백화점 15개 점포의 20·30대 매출 비중(25.3%)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구매 고객 수에서도 30대 이하 고객 비중이 65%를 차지하는 등 더현대서울 매출 절반 이상이 30대 이하 고객에게서 나왔다.
이러한 MD 실험은 현대백화점 더현대서울의 흥행과 판교점 리뉴얼 성공으로 성과가 입증됐다. 더현대서울은 MZ세대 맞춤형 신진 패션 브랜드와 대규모 휴식공간 등을 통해 오픈 첫해 연 매출 8000억원을 돌파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더현대서울의 성공은 신진 K패션 브랜드의 제도권 브랜드화에 발판이 됐다”며 “오프라인 유통에 관심이 없던 온라인 브랜드들도 이제 백화점 입점을 적극적으로 타진하고 있다. 앞으로도 현대백화점 주요 점포에서 젊은 고객이 즐겁게 쇼핑과 문화를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신진 브랜드를 계속해서 선보이는 등 K패션 브랜드 재도약에 일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