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우주에서 안정적으로 열과 전력을 공급하는 원자력전지를 개발했다.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전 세계에서 세 번째 성공이다.
9일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자체 개발한 원자력전지(ETG)를 2022년부터 누리호 성능검증위성에 탑재해 지구 저궤도에서 신뢰성을 평가한 결과, 장기간 안정적인 전력 생산 능력을 실증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22년 11월부터 올해 5월까지 1년 6개월간 원자력전지가 전기 출력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는지를 살폈다. 검증은 원자력전지 출력전압·내부 온도 정보를 위성본체가 전달받아 일정 기간 저장한 뒤 지상국과 교신 때 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지구 저궤도에서 방사성물질 사용을 금하는 국제연합(UN) 국제규범에 따라 방사성동위원소 열원은 전기 히터로 대체했다.
데이터 분석 결과 출력 감소나 부품 고장 없이 약 120밀리와트(mW) 전력을 꾸준히 생산했다. 극저온의 달 표면에서 환경온도 모니터링과 우주방사선 계측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으로 2016년부터 우주 탐사용 원자력전지 개발 연구를 수행해 9년 만에 맺은 결실이기도 하다.
우주 탐사선이 임무 완수에 실패하는 건 극한 온도와 모래 폭풍 등으로 열·전력 공급이 중단된 영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과 러시아 등 우주 분야 선진국들이 원자력전지 개발에 속도를 냈던 이유다.
연구팀도 앞으로 달 착륙선에 원자력전지를 탑재해 달 표면에서 전력 생산을 실증할 계획이다. 달 표면 자원 추출에도 원자력전지를 쓸 수 있게 출력과 안전성 등 성능 고도화도 추진한다.
정영욱 원자력연구원 하나로양자과학연구소장은 "2032년 달, 2045년 화성 착륙 등 국내 우주 탐사 목표를 달성하려 우주의 극한 환경에서 버틸 수 있는 에너지원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주에서 무사히 임무를 완수할 수 있는 고성능 원자력전지 개발을 위해 앞으로 더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