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삶의 질] '고용률·실업률' 개선됐지만…독거노인 늘고 가구순자산↓

2024-02-22 12:0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시기 악화했던 고용률과 실업률, 사회적 고립도 등의 '국민 삶의 질' 지표가 지난해 개선된 반면 부동산 경기 악화로 가구순자산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시기에 악화됐던 고용률은 지난해 62.6%로 전년대비 0.5%포인트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 60.9%보다 높은 수치다.

  • 글자크기 설정
지난해 6월 19일 한 시민이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게시된 일자리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지난해 6월 19일 한 시민이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게시된 일자리 정보를 살펴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시기 악화했던 고용률과 실업률, 사회적 고립도 등의 '국민 삶의 질' 지표가 지난해 개선된 반면 부동산 경기 악화로 가구순자산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로 노인인구가 크게 늘면서 독거노인 비율도 증가했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국민 삶의 질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시기에 악화됐던 고용률은 지난해 62.6%로 전년대비 0.5%포인트 증가했다. 코로나19 확산 전인 2019년 60.9%보다 높은 수치다. 

지난해 실업률은 2.7%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 줄었다. 실업률 역시 코로나19 영향이 없던 2019년 3.8%보다 낮은 수치다. 

사회적 고립도는 코로나19 확산세가 거셌던 2021년 34.1%까지 치솟았으나 지난해 33.0%로 완화됐다. 다만 2019년 27.1%보다는 여전히 높아 코로나19 확산 당시 외부활동의 제한으로 인한 사람들과의 관계단절이 여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가구순자산은 3억9000만원으로 2013년 이후 첫 감소를 기록했다. 가구순자산 감소는 보유 자산 중 실물자산 가격의 하락 영향이 컸는데 지난해 부동산 경기 침체로 거주주택의 가치가 줄어든 결과로 풀이된다. 

2021년 4억원대로 올라선 가구순자산은 2022년 4억2000만원까지 증가했지만 3년만에 다시 3억원대로 내려앉았다. 

고령화의 영향으로 독거노인의 비율도 증가했다.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인구 중 독거노인 수는 199만3000명으로 해당 연령 인구의 21.1%를 차지했다. 1년 전보다 0.2%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나타냈던 기대수명은 2022년 기준 82.7세로 전년대비 0.9세 감소했다. 코로나19 사망자 수가 증가한 영향으로 같은 시기 미국, 이탈리아, 영국 등에서도 기대수명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다. 

주관적 웰빙 영역에서 2022년 기준 삶의 만족도는 6.5점으로 전년보다 0.2점 증가했다. 저소득층 삶의 만족도는 6.0점으로 평균보다 낮았다. 

우울과 걱정정도를 보여주는 부정정서는 2020년 3.7점에서 2021년 4.0점까지 늘었지만 2022년에는 3.3점으로 전년대비 0.7점 감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