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47대 美대통령 취임…미국 최우선 할 것

트럼프, 47대 美대통령 취임…"미국 최우선 할 것"

4년만에 백악관 재입성…"남부 국경에 비상사태 선포"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취임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워싱턴 DC의 연방의회 의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제47대 대통령에 취임하며 ‘미 우선주의’를 다시 한번 천명했다. 집권 1기 취임사와 마찬가지로 ‘아메리카 퍼스트’(미 우선주의)를 국정의 모토로 내세운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미 의회 의사당에서

디지털랩

  • ※ 위클리 경제 스포는 이번 주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은행 등 경제 부처의 주요 일정을 한발 앞서 전달·분석해 주는 코너입니다. 우리 경제의 지난해 성적표가 이번 주에 발표된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사태 이후 탄핵정국으로 예기치 못한 정치적 혼란에 따른 타격이 예상보다 커 성장률이 더 낮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이 우리 경제에 어떤 불확실성을 가져다줄지 역시 관심사다. 19일 관계 부처 등

  • 최근 대출규제 여파로 서울 내 30대의 생애 첫 주택 거래 건수가 약세를 보인 반면, 지난달 경기 지역의 30대 생애 첫 주택 거래는 오히려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 위축 우려에 지난해 주택 시장에서 나타났던 30·40대의 약진이 올해 다시 재현될 지도 관심이다. 16일 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지역 내 집합건물(아파트·빌라·오피스텔 등) 생애 최초 매수자는 3707명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5167명) 대비 28

  • 퇴직연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관련 시장이 확대되면서 금융권 내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작년 10월 퇴직연금 실물이전 제도가 시행되면서 은행을 비롯한 금융권 전반에서 관련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은 382조4000억원으로 최근 5년간 2배 규모로 성장했다. 각 금융사들은 확대일로인 퇴직연금 시장에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작년 10월 고령층 특화 브랜드 ‘하나

아주PICK

코이너스 브리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자신의 취임식을 앞두고 발행한 트럼프 코인이 단기간 10배 가량 오르는 등 급등했다가 상승분을 반납 중이다. 10만6000달러를 돌파했던 가상화폐 대장주 비트코인도 숨고르기에 들어갔다. 투자자들의 차익 실현에 따른 조정으로 풀이된다. 20일 글로벌코인시황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오전 8시 기준 전일 1.17% 떨어진 10만248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새벽 한때 10만6222달러까지 오르기도 했었지만 단기간 가격이 4000달러 가량 빠졌다. 비트코인은 트럼프 전 대통령

  • 비트코인 155,335,000 -2,401,000
  • 이더리움 5,012,000 -70,000
  • 리플 4,731 -72
  • 에이다 1,552 -54
  • 솔라나 369,850 -30,700
시세제공 업비트

全球电动汽车销量排名第一的中国企业比亚迪(BYD)正式进军韩国市场,并以“性价比”作为武器,威胁着韩国本土整车行业。 据业界消息,BYD已经开始销售其首款国内车型——紧凑型电动SUV“ATTO 3”。自2022年推出以来,ATTO 3在全球市场已售出超过100万辆,是BYD的代表车型之一。该车搭载磷酸铁锂(LFP)刀片电池,一次充电的续航里程在常温综合工况下为321公里。 BYD将在韩国市场推出ATTO 3的标准版和Plus版,售价分别为3150万韩元(约合人民币15.8万元)和3330万韩元,价格仅高于中国大

아주일보 더보기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20일(현지시간) 제47대 미국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하며 4년 만에 백악관으로 복귀,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서막을 알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정오 워싱턴DC 연방 의사당 중앙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 선서를 하고 "변화의 물결이 나라를 휩쓸고 있다"며 '미국 성공의 새 시대'를 선포했다. 또한 '상식의 혁명'을 촉구하며 불법 이민자 대규모 추방, 고율 관세 부

이코노믹데일리 더보기

SEOUL, January 20 (AJP) - As U.S. President Donald Trump is sworn in as the 45th President of the U.S. in Washington, D.C. on Monday, as South Korea is bracing for potential shifts in its diplomatic relations with its key ally.

아주프레스 더보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