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오는 19일 올해 마지막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교통법안심사소위에서도 철산법 개정안이 상정되지 않으면 사실상 폐기 수순을 밟을 것으로 전망된다.
15일 철도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철산법 38조에 '철도 시설 유지 보수 시행 업무는 코레일에 위탁한다'는 단서 조항을 없애기 위한 철산법 개정안 상정을 추진 중이다. 2004년 만들어진 이 조항으로 인해 현재 수서고속철도(SRT) 등 코레일이 운영하지 않는 노선마저 유지보수를 담당하면서 안전성과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된 데 따른 조치다.
개정안은 지난해 12월 통복터널 단전 사고, 지난해 11월 무궁화호 탈선, 지난해 7월 수서고속열차(SRT) 탈선, 지난해 1월 KTX 탈선 등 잇따라 사고가 발생하면서 발의됐다. 그러나 1년째 제대로 된 논의 없이 계류된 상태다.
컨설팅 결과를 고려해 국토부는 철산법에서 코레일의 독점조항을 보장하는 대신 코레일이 운영하는 구간은 코레일이, 그 외의 구간은 해당 운영사 등이 유지보수를 수행토록 하되 코레일이 긴장감을 갖고 안전지표를 준수하도록 시행령에 규정하는 절충안을 마련해 국회에 제안했다.
그러나 개정안의 국회 통과는 불투명한 실정이다. 국회는 이해관계자인 코레일, 국가철도공단, 철도노조 간 의견 차이가 크다며 이해당사자 간 합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코레일 측은 "철도는 일원화된 운영체제가 필수적"이라며 "운영과 유지보수 주체가 동일해야 철도시설의 효율적인 유지보수 업무와 운행 안전을 높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철도공단은 "유지보수 기관을 통합했을 경우 생애주기별로 일괄 관리가 되는 등 보다 효과적인 안전관리를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일각에서는 정치권에서 약 4개월 뒤로 다가온 총선을 앞두고 철도노조의 반대를 의식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철도노조는 개정안이 통과되면 시설 유지보수 업무를 민간에도 위탁할 수 있게 돼 '철도 민영화'가 본격화될 수 있다며 강력하게 반대하고 있다. 노조는 개정안이 국회 교통소위에 상정될 경우 총파업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철도노조 소속 조합원 2만3000여명 중 39%에 달하는 9000여명이 시설유지 보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게다가 지난해 12월 철산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한 조응천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소속 상임위원회를 옮긴 상황이다. 이에 이달 19일 소위에서도 법안을 상정하지 않으면 철산법 개정안은 폐기 수순을 밟을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한 철도업계 관계자는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시행한 철도안전체계 컨설팅 용역에서도 철산법 개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결론 났다"며 "정부에서도 용역결과를 토대로 철도안전체계에 대한 뜻을 분명히 밝혔다. 이제는 국회가 답할 차례"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