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역작업으로 분주한 부산항
부산연합뉴스 강덕철 기자 1일 부산항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지난달 무역수지는 16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갔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7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 대비 165 감소한 503억 3000만 달러 수입은 254 감소한 487억 1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지난달 무역수지는 16억 3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02381
kangdccynacokr2023-08-01 123834
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저작권자 ⓒ 1980-2023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3/08/21/20230821095441422502.jpg)
8월 1일 부산항에서 컨테이너 하역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우리나라가 이달 들어 20일까지 36억 달러에 달하는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면서 6~7월까지 이어지던 흑자 기조가 끊길 전망이다. 수출도 16% 가까이 줄면서 11개월 연속 감소세가 예상된다. 하반기 중국의 경제 회복에 따른 수출 반등 전망도 중국 부동산 위기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부담 요인이 되고 있다.
관세청이 21일 발표한 '2023년 8월 1일~20일 기간의 수출입 현황'에 따르면 이달 1~20일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278억5600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16.5% 감소했다.
지난해 10월부터 마이너스로 돌아선 월간 수출액은 이달까지 11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다.
같은 기간 수출액이 수입액을 밑돌면서 무역적자는 35억6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앞서 이달 1~10일 무역수지는 30억41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지만 20일까지 적자 규모가 5억 달러 이상 늘었다. 6~7월 이어졌던 무역수지 흑자도 이달 적자로 돌아설 전망이다.
수출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 수출액은 1년 전보다 24.7% 줄면서 이달까지 13개월 연속 감소가 유력하다. 석유제품(-41.7%), 철강제품(-20.5%), 정밀기기(-23.4%), 컴퓨터주변기기(-32.8%) 등의 수출도 줄었다. 반면 승용차(20.2%), 선박(54.9%) 등은 수출이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으로의 수출이 27.5% 줄었다. 대중 수출 감소는 지난달까지 14개월째다. 이외 미국(-7.2%), 유럽연합(EU·-7.1%), 베트남(-7.7%) 등이 감소했으며 10대 지역 중 홍콩(36.1%)만 유일하게 수출이 늘었다.
이달 1~20일 수입액은 314억2100만 달러로 27.9% 감소했다.
품목별로 원유(-37.4%), 가스(-45.2%), 석탄(-49.1%) 등의 에너지 수입이 큰 폭으로 줄었고 반도체(-25.1%), 승용차(-46.3%) 등도 감소했다.
수입 국가별로는 중국(-22.1%), 미국(-35.8%), EU(-20.7%) 등이 줄었다.
올 들어 이달 20일까지 누적 무역적자는 284억400만 달러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