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별세…생존자 8명만 남아

2024-09-07 16:22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7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전날 별세했다고 밝혔다.

    A씨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8명으로 줄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대구, 인천, 경북, 경남이 각 1명씩이고, 경기가 3명이다.

  • 글자크기 설정
이미지 확대
지난달 14일 강원 속초시 청초호 유원지 분수광장 일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행사가 열렸다.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은 고 김학순 할머니가 1991년 8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최초 증언한 날이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14일 강원 속초시 청초호 유원지 분수광장 일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 기념행사가 열렸다. 위안부 피해자 기림의 날은 고 김학순 할머니가 1991년 8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최초 증언한 날이다. [사진=연합뉴스]


정의기억연대(정의연)는 7일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전날 별세했다고 밝혔다.

정의연에 따르면 A씨는 18세 때 바느질 공장에 취업하기 위해 친구와 함께 중국으로 갔다가 일본군 위안부로 수난을 겪었다.

A씨는 1945년 광복 후에도 귀국하지 못했고 2000년대 초반에야 고국으로 돌아와 가족과 상봉했다.

A씨는 정부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한 뒤 수요시위와 해외 증언 등에 참여하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에 활발히 참여했다.

정의연은 유족의 뜻에 따라 장례는 비공개로 치러진다고 밝혔다.

A씨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8명으로 줄었다. 지역별로는 서울, 대구, 인천, 경북, 경남이 각 1명씩이고, 경기가 3명이다. 8명 모두 94∼96세로, 평균 연령은 95세다.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은 "또 한 분의 위안부 피해자를 떠나보내게 돼 매우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며 "고인이 가시는 길에 최대한 예의를 다하겠다"고 애도했다.

이어 "여가부는 위안부 피해자가 편안한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세심히 살피고, 이들의 명예와 존엄 회복을 위한 기념사업도 추진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