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정부 "대구 화이자 백신 제공 제안, 화이자 측 정품 여부 확인 요청"

2021-06-01 14:09
  • 글자크기 설정

외국계 무역회사→대구시 6000만회분 도입 제안

정부 "한국 판권 화이자사만 보유…안전성 여부도 확인할 것"

지난달 25일 오전 서울 도봉구 시립창동청소년센터에 마련된 백신접종센터에서 관계자가 화이자 백신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대구시가 정부와 별개로 화이자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도입을 추진하자, 정부는 해당 제품의 정품 여부를 화이자 측에 요청했다고 1일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오전 코로나19 브리핑에서 "대구시 쪽으로 어떤 외국 무역회사가 화이자 백신 수천만회분 백신을 공급할 수 있다고 제안한 것은 사실"이라며 "글로벌 화이자사에 제품의 정품 여부를 요청했으며 회신 내용을 확인해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의료단체인 메디시티대구협의회는 익명의 화이자 관련 유력인사로부터 백신 6000만회분(3000만명분)을 공급하겠다는 답변을 받아 협상을 개별적으로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손 반장은 "백신을 생산하는 화이자사의 제안이 아니다"라며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은 국가 단위로만,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 등 초국가 기관에 한정해 공급계약을 체결하고 있어, 어떻게 외국 민간 무역회사가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는지는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한국에 대한 백신의 판권은 화이자사에 있고 바이오엔테크사에는 없어, 정부는 신뢰할 만한 협상인지도 확인할 방침이다.

손 반장은 "1차 확인한 바로는 한국 판권은 화이자사만 보유하고 있으며, 바이오엔테크 사는 한국 판권이 없다"며 "화이자사만 한국 대상으로 백신 판매와 공급 소식을 알려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경우 여러 경로로 민간 외국회사나 개인 등으로부터 백신 공급을 할 수 있다는 제안이 있었지만 대부분 사실이 아니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많았다"며 "이번 사례도 신중히 확인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제품이 정품이라 하더라도 품질과 안전성에 대해서도 확인할 방침이다.

손 반장은 "어떤 보관 상태와 품질을 갖고 있는지 알지 못하며 유효기간이 얼마나 남았는지도 모른다"며 "화이자로부터 정식 수입하는 백신 허가와 별개로, 정품이라 하더라도 식약처 수입허가와 품질인증이 별도로 필요하다. 제조 공정과 접종 용량, 1바이알(병) 용량도 화이자사로부터 받는 것과 다른 측면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확인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