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밑과 제야 무슨 뜻?

2020-12-31 08:43
  • 글자크기 설정

2021 신축년을 앞둔 12월, 충북 청주시의 한 축산농가에서 농민이 이른 새벽 어미 소와 송아지를 이끌고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020년 경자년 마지막 날인 12월 31일, 세밑과 제야라는 단어가 눈길을 끌고 있다.

세밑은 한 해의 마지막 때를 일컫는 말로 한 해가 거의 다 가서 얼마 남지 않은 때, 곧 한 해가 저물어갈 무렵을 가리킨다.
세밑은 세모(歲暮)라고도 하는데, 국립국어원에서는 일본식 한자라 해서 세밑으로 순화해 쓰도록 권장하고 있다.

매년 12월 31일 자정 울려퍼지는 제야의 종소리, 제야는 섣달 그믐날을 뜻하는 말로 음력으로 한해의 마지막 날을 가리킨다.

섣달그믐은 '눈썹 세는 날'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날 밤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는 속설에서 나온 말이다. 수세(守歲), 제석(除夕)이라고도 한다.

서울 보신각에서는 매년 12월 31일 자정에 제야의 종 타종행사가 열렸지만 올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된다.

제야의 종 행사가 보신각 현장이 아닌 온라인을 통해 열리는 건 1953년 첫 시작 이후 처음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