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주가 급락에 '긴장'…주총·마이크론 실적 주시

2024-06-25 14:39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엔비디아 주가 급락에 세계 투자자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엔비디아 주가가 계속 오를 것이란 낙관론과 닷컴버블이 재현될 수 있다는 비관론이 맞선다.

    24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6.7% 밀리며, 3거래일 연속 약 13% 하락했다.

  • 글자크기 설정

사흘간 13% 하락…시총 596조원 증발

닷컴버블 재현 vs 주가 더 올라

26일 주시…마이크론 실적이 주가 방향성 결정

엔비디아 주총·5월 PCE 등도 관심사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엔비디아 주가 급락에 세계 투자자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지난 주 세계 시가총액 1위를 찍는 기염을 토했던 엔비디아는 지난 3거래일 동안 주가가 약 13%나 밀리며 시총 3위로 후퇴했다. 월가 의견은 엇갈린다. 엔비디아 주가가 계속 오를 것이란 낙관론과 닷컴버블이 재현될 수 있다는 비관론이 맞선다.
 
24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6.7% 밀리며, 3거래일 연속 약 13% 하락했다. 지난 4월 이후 처음으로 기술적 조정(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에 들어선 것이다. 
 
엔비디아는 지난 18일 주가가 사상 최고치(주당 135.58달러)를 찍으며 시총 3조3350억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이후 3거래일 연속 하락하며 시총이 약 4300억달러(약 596조원)나 증발했다. 미국 증시 역사상 3거래일 기준 역대급 감소세다.
 
3일간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 주가는 올해 들어 139% 오른 상태다. 지난해 240% 급등에 이어 올해도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주가가 ‘너무 올랐다’는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다. 미국 금리인하 시기가 늦춰지는 데다가 젠슨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주식 분할 후 지난 13일부터 24일까지 7차례에 걸쳐 총 84만주의 주식을 매각한 점 역시 비관론에 무게를 실었다.
 
주가 전망은 엇갈린다. 블룸버그가 집계하는 애널리스트 가운데 약 90%는 엔비디아 투자 등급을 ‘매수(Buy)’로 유지하고 있다. 이들 애널리스트의 평균 목표주가는 이날 종가 기준 대비 약 12% 높다.
 
미국 투자은행 제프리스는 엔비디아 목표 주가를 기존 주당 135달러에서 150달러로 올렸고,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역시 목표가를 150달러로 고수하고 있다. BofA 소속 애널리스트들은 “가파른 주가 상승으로 인해 차익실현에 취약하지만, 우리는 변동성이 일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분석했다. 엔비디아가 올해 초 조정을 극복한 후 반등에 성공했듯, 다시 오름세로 전환할 것이란 시각이다. 
 
반면, 스티펠의 수석 주식 전략가인 배리 배니스터는 “앞으로 몇 달간 엔비디아가 급격한 조정을 받으면 S&P500 지수가 상승세를 유지하기 힘들 것”이라고 파이낸셜타임스(FT)에 말했다. 또한 일부 전문가들은 엔비디아 주가가 주당 100달러 아래로 떨어지면 투매가 나타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닷컴 버블 재현?
닷컴버블이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닷컴버블 당시 시스코는 2000년 3월 시총 1위에 오른 후 주가가 약 80% 빠지는 등 기술기업 거품이 터지면서 투자자들은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시장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실적 발표와 엔비디아 연례 주주총회가 예정된 26일을 주시한다. 마이크론은 장 마감 후 2024 회계연도 3분기 실적을 발표할 계획으로, 마이크론의 실적을 통해 엔비디아의 실적을 엿볼 수 있다. 마이크론은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한다.

금융리서치업체 비저블 알파가 집계한 예상치에 따르면 애널리스트들은 마이크론의 2024회계연도 3분기(2024년 3~5월) 매출이 이전 분기 및 전년 동기보다 증가한 67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JP모건과 씨티는 마이크론이 예상을 웃도는 4분기 가이던스를 발표하며 주가가 오를 것으로 기대했다.
 
엔비디아 주총을 통해서는 성장 전략을 볼 수 있다. 주주들은 임원 보상 체계 등을 투표할 예정이다. 이번 투표는 '보상에 대한 발언권(Say on pay)' 차원상 이뤄지는 것으로, 구속력은 없으나 주주들의 의견을 반영해 보상체계 결정에 참고된다.
 
28일 발표되는 미국 5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도 중요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5월 근원 PCE 물가지수가 예상을 웃돌면, 금리인하 기대가 움츠러들며 증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