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국제금융센터와 글로벌 펀드평가사 리퍼(LIPPER)에 따르면 선진국 주식펀드에는 지난 11일 기준 지난 8주간 44억달러(한화 약 4조8700원)가 빠져나간 반면 신흥국 주식펀드(8조9586억원)에는 81억달러에 달하는 자금이 유입됐다. 지역별로 신흥국인 인도(48억4000만달러)와 한국(21억7000만달러·억원), 대만(4억900만달러) 주식펀드에는 순유입세가 이어졌지만 북미 주식펀드와 유럽 주식펀드에서는 저마다 160억달러, 49억달러가 빠져나간 것이다.
이민섭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크게 회복됐다"며 "백신 개발이 신흥국 증시에 큰 호재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북미에 대해서는 "대선 결과와 백신 개발 호재에 내년까지 증시가 낙관적일 것으로 보이지만 장기금리 상승 추이와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결과 불복 경과, 상원의원 선거 최종 결과 등이 단기적 리스크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고 했다.
신흥국을 매력적인 투자처로 바라보는 전문가도 늘어나고 있다. 최유준 신한금유투자 연구원은 "신흥국 주식의 전 세계 주식 대비 상대 강도가 바닥권"이라며 "최근 나타난 시장 변화가 더 연장될 여지가 충분히 크다는 의미"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국내 증시에도 외국인 매수세가 더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며 "연말까지 코스피 사상 최고치 도전이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효진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대선에서 바이든이 당선되며 재정부채 확대 가능성이 달러 약세로 이어지고 있다"며 "대부분 국가의 재정적자가 크게 확대된 점은 동일하지만 미국의 재정 대응이 대출과 보증보다 소득보전과 이전지출 규모가 큰 만큼 정부부채 부담 확대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고 오바마케어 강화로 중장기 재정적자가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앞으로 바이든 대통령 확정과 상원에서 민주당 다수 가능성이 남아있다는 측면에서 재정부채 확대로 인한 달러 약세 압력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신흥국 리스크도 전반적으로 감안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게 많다.
김한진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경기노출도가 높은 대부분의 신흥국 경제는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연말 바이러스 확산은 신흥국으로 하여금 환율 방어와 경기 부양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도록 강요하겠지만 이미 부채비율이 높아 신용 압박을 받고 있는 일부 신흥국들의 경우 팬데믹 환경에서 금융완화 여럭도 크지 않다"고 했다.
그는 "올해 2000억 달러의 이머징 만기채권은 2022년까지 3년간 4000억달러 이상으로 2배 넘게 증가할 전망"이라며 "많은 신흥국들이 국채만기와 재정적자로 국내총생산(GDP) 10% 이상의 세수 부족을 외부로부터 조달해야만 하는데 섣불리 금리를 내릴 경우 환율 절하로 자본유출과 대외부채 차환이 꼬이고 글로벌 저수요 상황에서 수출개선보다는 물가상승 부담만 고스란히 떠안게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금융센터도 '2021년 신흥국 경제전망 점검'을 통해 내년 주요 신흥국들이 코로나19 영향권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란 어두운 전망을 내놨다. 신흥국 경제 리스크 요인으로는 마찬가지로 재정·부채 리스크와 통화정책 한계, 지정학적 긴장·정치불안을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