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올해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결국 마이너스에 그칠 것이라는 국제 금융기관의 전망이 속속 나타나고 있다. 이중 몇몇 금융기관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기록했던 최악의 GDP 성장률인 –5.5% 보다 올해가 더 안 좋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무디스는 세계 주요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담은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의 0.1%에서 -0.5%로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가 G20 가운데 선진국으로 분류하는 10개 국가 가운데는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이 가장 양호한 수준이었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도 지난달 말 보고서를 통해 올해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1.2%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달 초 제시했던 전망치인 –0.2%보다 1%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이들은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처가 양호하다며 성장률 전망치를 양호하게 평가했으나 몇몇 금융기관은 그렇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일본 노무라증권을 꼽을 수 있다. 노무라증권은 지난달 말 올해 우리나라 GDP 성장률이 –5.5~-12.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노무라증권이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 제시한 GDP 전망치인 0.2~1.4%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노무라증권은 이번 보고서에서 코로나19 감염 전개 국면에 따른 성장률 전망을 '기본(base)', '좋은(good)', '나쁜(bad)' 시나리오 등 3단계로 제시했다.
노무라증권은 미국과 유럽의 '사회적 거리 두기'가 4월 말까지 엄격하게 시행된 후 완화되는 경우를 '기본 시나리오'로 가정하고, 이 경우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6.7%로 제시했다. 이는 1998년 IMF 외환위기 당시(-5.5%)보다 심각한 수준이다.
만약 새로운 감염이 전 세계적으로 4월까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경우를 '나쁜 시나리오'로 가정했다. 이 경우 우리나라 역시 장기적인 경기 침체를 겪을 수밖에 없어 GDP 성장률 전망치는 –12.2%까지 급락한다.
다만 '사회적 거리 두기'가 4월 중순까지 시행될 경우를 '좋은 시나리오'로 보고 이 경우 올해 한국의 GDP 성장률을 –5.5%로 추정했다. 이는 1998년과 동일한 수준이다.
문제는 긍정적인 전망보다 부정적인 전망 쪽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제 금융기관의 GDP 성장률 전망치가 발표된 이후 한국은행은 지난 1분기 GDP 성장률이 –1.4%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달부터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입 상대국인 미국·유럽에 코로나19가 확산됐다며 2분기에는 1분기보다 충격이 더 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 GDP 성장률이 외환위기 때보다 더 안 좋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코로나19로 투자·소비가 위축된 상황이라 전염병의 확산에 따라 경기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최근 무디스는 세계 주요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담은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의 0.1%에서 -0.5%로 하향 조정했다. 무디스가 G20 가운데 선진국으로 분류하는 10개 국가 가운데는 우리나라의 성장률 전망이 가장 양호한 수준이었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도 지난달 말 보고서를 통해 올해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 전망치를 –1.2%로 하향 조정했다. 지난달 초 제시했던 전망치인 –0.2%보다 1%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이들은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처가 양호하다며 성장률 전망치를 양호하게 평가했으나 몇몇 금융기관은 그렇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일본 노무라증권을 꼽을 수 있다. 노무라증권은 지난달 말 올해 우리나라 GDP 성장률이 –5.5~-12.2%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노무라증권이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기 전 제시한 GDP 전망치인 0.2~1.4%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노무라증권은 미국과 유럽의 '사회적 거리 두기'가 4월 말까지 엄격하게 시행된 후 완화되는 경우를 '기본 시나리오'로 가정하고, 이 경우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6.7%로 제시했다. 이는 1998년 IMF 외환위기 당시(-5.5%)보다 심각한 수준이다.
다만 '사회적 거리 두기'가 4월 중순까지 시행될 경우를 '좋은 시나리오'로 보고 이 경우 올해 한국의 GDP 성장률을 –5.5%로 추정했다. 이는 1998년과 동일한 수준이다.
문제는 긍정적인 전망보다 부정적인 전망 쪽에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국제 금융기관의 GDP 성장률 전망치가 발표된 이후 한국은행은 지난 1분기 GDP 성장률이 –1.4%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달부터 우리나라의 주요 수출입 상대국인 미국·유럽에 코로나19가 확산됐다며 2분기에는 1분기보다 충격이 더 클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올해 GDP 성장률이 외환위기 때보다 더 안 좋을 수 있다는 전망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코로나19로 투자·소비가 위축된 상황이라 전염병의 확산에 따라 경기가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점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