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1주년을 맞아 737명의 독립유공자 발굴, 국가보훈처에 포상 신청

2020-04-09 14:56
  • 글자크기 설정
지난해 두 차례에 걸쳐 765명의 독립유공자를 발굴하여 국가보훈처에 포상신청을 한 바 있는 인천대학교(총장 조동성)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1주년을 맞아 737명의 독립유공자를 또 발굴하여 국가보훈처에 포상을 신청하기에 앞서 4월 8일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독립운동사연구소에서 설명회를 개최했다.

인천대 조동성 총장은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마리아 여사가 왕고모(아버지의 고모)인 관계로 독립유공자 발굴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차에 최용규 전 국회의원이 인천대학교 법인 이사장으로 취임하자 독립유공자를 발굴하는 일을 본격적으로 펼치고자 의병연구가 이태룡 박사에 이어 수십 년 동안 여성독립운동가 연구에 심혈을 기울여 온 이윤옥 박사를 초빙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번 포상신청 대상자는 3․1독립만세시위 유공자 348명과 간도와 함경도·경상도 지역에서 반일활동을 전개했던 정평청년동맹·안동청년동맹 등 반일활동 유공자 234명, 추자도 1·2차 어민항쟁과 제주혁우동맹 등 반일농어민활동 유공자 73명 등 737명이다.

이들 중 10여 명을 제외하고 모두 판결문을 거증자료로 제출했는데, 그 서류가 무려 3만여 장이나 된다.

위 왼쪽부터 윤귀룡(함북 경성), 장석영(경기 강화), 한경익(북간도) 아래 황금봉(함북 명천) 1차(징역 6월), 2차(징역 8년), 3차(징역 2년)[사진=인천대]


포상신청 대상자 중에서 눈에 띄는 인물은 전북 장수의 김해김씨와 경남 양산의 김병희(金柄熙)·김교상(金敎相) 부자(父子), 그리고 독립군 소위 출신의 계기화(桂基華) 지사이다. 김해김씨는 호남 연합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교수형으로 순국한 전해산(全海山)의 부인이다. 족보나 제적등본에도 이름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남편이 의병장으로 활동하자 일본군경의 모진 압박을 겪었다. 이후 교수형으로 순국한 남편의 유해가 대구감옥에서 전북 장수로 운구되자 장례를 치렀으며, 상여가 집 앞 개울을 건너자 집으로 들어와서 극약을 먹고 자결하는 바람에 남편의 상여가 되돌아와서 쌍상여로 장례를 치른 분이다.

김병희·김교상 부자는 경남 양산의 의병장이다. 이들 부자는 모두 정3품관을 지냈으며, 양산의 거부(巨富)로 동향의 서병희(徐炳熙) 의병부대에 거금 5천원(당시 2천석 쌀값)을 지원했다. 그리고 사병 형식의 산포수를 중심으로 한 의병을 모집하여 일본군과 격전을 치른 후 피체되어 손바닥을 철사로 꿰어 양산시장에 조리돌림을 당한 후 피살, 순국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몸소 실천한 부자이다.

계기화(桂基華) 지사는 독립군 소위 출신으로 1932년 통화현 군관학교를 거쳐 한국인과 중국인 혼성부대였던 요녕민중자위군에 참여하여 일본군과 싸웠고, 양세봉 장군이 이끈 조선혁명군에 참여하여 중상을 입었다. 이후 자신의 삶과 독립군과 관련한 내용을 정리·기록한 자료는 독립기념관에서 중요기록물로 간행된 바 있었지만, 정작 기록물의 주인은 아직 포상이 안 된 상태이다.

그 외 서대문감옥(서대문형무소 전신)을 3차례에 걸쳐 10년이 넘게 옥고를 겪었던 함북 명천 출신의 황금봉(黃金鳳) 지사도 이번 포상 신청대상자로 올랐다.

이날 참석한 순국선열유족회(회장 이동일) 임원과 지광회(회장 김기봉) 임원들과 독립기념관 서보현·전영복 이사는 이구동성으로 불철주야 노력한 이태룡·이윤옥 박사의 노고를 치하했다.

조동성 총장은 “우리 대학에서 독립유공자 발굴 작업은 약 1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1,500명이 넘었다. 우리 학교에서는 매년 1천여 명의 독립유공자를 발굴하여 민족대학으로 거듭나게 하겠다.”고 했으며, 국립인천대학교 학교법인 최용규 이사장은, “우리 인천대학은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기 위해 판결문은 물론, 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 속에 등장하는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발굴함은 물론, 장차 중국 연변대학과 연계하여 북한·간도 지역 독립유공자도 발굴하여 포상을 신청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번 독립유공자 발굴과 포상신청을 위해 독립유공자 발굴단을 뒷바라지한 인천대학교 조봉래 인천학연구원장은“국가와 경인지역 발전을 이끌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에 중점을 두고 독립유공자를 발굴하는 일에 한층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 말했다.

독립유공자 발굴 방향에 대하여 이태룡 독립운동사연구소장은“북한에서 재판을 받은 경우는 한계가 있지만, 국가기록원에서 남한의 재판기록조차 아직 70% 이상 공개하지 않아 독립유공자의 공적을 찾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하루빨리 그것이 공개되어야 하고, 국가보훈처는 많은 인원을 동원하여 수많은 포상 대상자를 신속하게 심의해 주기를 간절히 요망한다.”고 했다.

이어 이윤옥 박사는“이른바‘일제감시대상인물카드’속에 나오는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는 물론, 잘 알려지지 않은 여성 독립운동가 발굴을 위해 심혈을 기울일 것”이라고 다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