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에너지경제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국제 LNG 시장은 신규 수요증가로 2022~2023년 수급 균형을 이루다가 2025년부터 공급과잉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서정규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세계 LNG 시장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는 상황”이라며 “전통적인 수입국인 일본, 한국, 대만 등의 수요가 정체된 상황에서 중국을 비롯한 신규 수입국들의 수요 증가에도 공급량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2023년경에 현재의 과잉공급이 어느 정도 해소되는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2019년 이후 최종투자결정된 신규 LNG 프로젝트의 증가로 2025년 이후에는 공급과잉 상황이 재현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업계에서는 전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곧 LNG운반선 발주물량이 축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조선업계는 크게 우려할 필요가 없다고 입을 모은다. 우리나라 조선업계의 LNG 기술이 단순히 운반에 그치지 않고 연료추진선 등 다양한 방향으로 이뤄져 왔기 때문이다. 현재 조선업계가 주목하고 있는 건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다. 특히 IMO 2030과 2050에 주목하고 있다. IMO는 2030년까지 선박의 이산화탄소배출량을 2008년 대비 최소 40% 감축하고, 2050년에는 70%까지 줄인다는 계획을 세웠다.
박무현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IMO 규제 일정에 의하면 2023년까지 IMO 2050을 달성할 방법을 확정해야 한다”며 “조선업 관계자들은 IMO 2050에 대한 솔루션을 3~5년 안에 만들어내야 하는 압박감을 느끼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산화탄소가 발생되지 않는 암모니아 추진선 및 수소, 전기 등 다양한 방안이 거론되고 있지만 기술 완성화와 적용까지 시간이 걸리는 만큼 최소 10년은 LNG추진선이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LNG 시장이 포화상태라도 LNG를 연료로 하는 선박 시장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현재 중국과 일본 등 경쟁국들이 앞다퉈 LNG선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우리나라와 격차가 크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현재 국내 조선업계는 LNG 기술력을 쌓아놓고 있지만 더욱 기술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상황”이라며 “삼성전자가 반도체 산업에서 초격차를 통해 글로벌 1위를 달성했듯이 국내 업체들도 LNG기술을 통한 조선업계 선도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