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보다 더 나이 드는 일본 - 65살 이상 인구 비중이 27%로 초고령사회에 해당하는 일본이 '중고령(重高齡) 사회'로 진입할 예정. 75살 이상 후기 고령자 수가 월 3만 명 정도씩 늘고 있기 때문에 이르면 이달 1일 기준 집계부터는 후기 고령자가 65~74살 전기 고령자보다 많아질 수 있다고. 후기 고령자로 갈수록 활동 능력과 건강에 한계가 커져. 노인이 노인을 간호하는 '노노 개호' 문제도 더 심각해질 전망. 치매 증가에 따른 시장 자금 흐름 경색도 우려된다고. (한겨레)
▷취향-신념 패션으로 밝힌다… 난 '미닝아웃족' - 해시태그가 달린 정치 관련 문구부터 육식주의를 반대하는 '낫 아워스(NOT OURS)'나 'PLEASE STOP(아동학대 반대)', 'SAVE ME(유기동물 보호)' 등 사회적 메시지가 새겨진 티셔츠나 열쇠고리, 가방을 착용하는 '미닝아웃족' 등장. 남을 의식하지 않고 자기의 생각이나 가치관을 놀이처럼 '쿨'하게 표현하는 젊은 세대가 증가했기 때문이라는 분석. 수동적인 이미지로 비치던 젊은 세대들이 세월호 사태, 촛불 집회 등을 경험하며 변화했다는 분석도. (동아일보)
▷청년실업 돌파구라더니 푸드트럭 3대 중 1대 폐업 - 푸드트럭 폐업이 잇따르면서 대책마련이 시급.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영업신고 푸드트럭은 626대, 여기서 폐업 중인 트럭은 192대로 나타나. 허가된 푸드트럭의 3분의 1 정도가 폐업 중인 셈. 미국은 매년 7%대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등 새로운 창업 분야로 각광. 우리 역시 푸드트럭 같은 혁신 소자본창업에 정부의 관심과 지원을 늘려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어. (서울경제)
▷"사실상 여론재판" " 안타깝지만 죄는 죄" - 배우 조민기에 이어 학생 성추행 의혹에 휩싸였던 한국외대 교수가 17일 숨진 채 발견되면서 미투(#Me Too) 운동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져. 무분별한 고발과 무차별적 과잉 비난을 조금은 자제할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한편, 미투 운동의 동력 상실로 이어져서는 안된다는 우려가 함께 제기. (한국일보)
▷섹계 운영 10대들, 성폭력 범죄 위험 노출 - 나체 사진 올리며 음담패설을 주로 올리기 위해 만들어진 SNS 계정 일명 '섹계'가 사회문제로 대두. 최근엔 일부 10대 학생들까지도 이 같은 계정을 직접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나. 특히 이들이 성폭력 위험에 노출 되면서 범죄 피해로 연결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 하다는 지적. (경향신문)
▷7兆 투입 스텔스 F-35A, 1호 출고식 조용히 - 우리 군이 미국으로부터 7조3000억 원을 들여 도입하는 최신예 스텔스 전투기 F-35A의 출고 행사가 당초 계획보다 축소 진행될 예정. 남북 정상회담 등을 앞두고 북한을 자극하지 않으려는 정부의 의도가 작용한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와. 행사는 미국 텍사스주 포트워스에 있는 록히드마틴 공장에서 오는 28일 열려. 최근까지 이왕근 공군참모총장과 전제국 방위사업청장이 가기로 돼 있었는데 두 사람 모두 참석하지 않기로. 우리 군은 2021년까지 40대를 들여올 예정. 1대당 가격이 1200억 원이 넘고, 군수 지원과 무장 비용까지 합하면 총사업비가 7조3400억 원에 달해. (조선일보)
▷고용창출, 제조업의 두 배인데… 꽉 막힌 관광 - 서비스업의 고용 창출 효과는 제조업보다 두 배가량 높아. 한국은행에 따르면 제조업의 취업유발계수는 8.8명, 서비스업은 16.7명. 제조업 사업장이 10억 원어치의 재화를 생산하기 위해선 직·간접적으로 8.8명의 직원이 필요한데 10억 원 상당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는 16.7명을 고용해야 한다는 뜻. 전문가들이 "일자리를 늘리려면 서비스업의 불합리한 규제를 없애 민간 서비스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는 이유. (한국경제)
▷G20, 가상화폐 '규제'로 선회하나 - G20회원국들이 19~20일 이틀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열리는 G20재무장관 회의에서 가상화폐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 공개된 공동합의문 초안에서 시장의 눈길을 끄는 것은 '다자간 대응'. 주요국들이 동시에 고강도규제를 도입해 규제 실요성을 확보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돼. 실제 가상화폐에 우호적인 입장을보였던 국가들도 강경 모드로 돌아서는 중. 가상화폐의 가치창출보다는 부작용이 더 크다고 판단했기 때문. (아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