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거래소 지주전환 작업은 사실상 중단됐다.
거래소는 2015년 7월 지주전환·IPO를 골자로 한 '한국거래소 경쟁력 강화 방안'을 내놓았다. 금융위원회도 가칭 한국거래소지주를 세우고 IPO를 추진하기로 했었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당시 "해외 거래소가 다양항 상품을 공급하고,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만큼 우리도 개혁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반대하는 목소리가 만만치 않았다. 거래소 노조가 먼저 들고 일어났다. 여야 의견도 엇갈렸다. 그래도 정부는 지주전환을 강하게 밀어붙였지만, 이견을 좁히는 데 실패했다. 결국 자본시장법 개정안은 국회 문턱을 못 넘었다. 금융위가 방안을 내놓은 지 2년이 다 돼가고 있지만, 진전된 게 없다.
현재 거래소는 뚜렷한 입장을 못 내놓고 있다. 지주전환을 계속 추진한다거나 포기한다는 공식 발표가 없다.
유관 이익단체만 지주전환을 계속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코스닥협회와 벤처기업협회, 이노비즈협회, 벤처캐피탈협회, 여성벤처협회는 최근 성명서를 통해 새 정부에 거래소 지주전환을 촉구했다. 지주전환으로 코스닥 부문이 거래소 자회사로 분리되고, 이는 선순환 벤처 생태계를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는 거다.
그러나 거래소 지주전환에 긍정적이던 의원마저 생각을 바꿨다는 얘기가 나온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애초 자유한국당이 지주전환에 적극적이었지만, 아예 계획을 접은 것으로 안다"며 "유야무야되는 분위기로 안다"고 말했다.
거래소 IPO도 덩달아 무산될 공산이 커졌다. 다른 증권사 관계자는 "거래소 IPO로 상장차익을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며 "하지만 관련작업이 재개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고 전했다.
거래소 주식을 가장 많이 보유한 곳은 KB증권이다. 지분율이 6.42%에 이른다. 메리츠종금증권(5.83%) 및 NH투자증권(5.45%), 한화투자증권(5.00%)도 5% 이상 지분을 가지고 있다.
유안타증권 및 하나금융투자, 미래에셋대우, 제이피모간증권(서울지점), 대신증권이 보유한 지분은 3%대다. 한국투자증권과 신한금융투자, 골든브릿지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신영증권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