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오진주 기자= “공영개발인데도 묻는 사람들이 많아요.”(서울 강남구 개포동 구룡마을 인근 A공인중개업소 대표)
16일 찾은 구룡마을 입구에는 사람 키보다 낮은 집들이 일렬로 늘어서 있다. 낮이라 조용한 마을 앞으로 드넓게 펼쳐진 양재대로에는 양방향으로 자동차 지나가는 소리만 들릴 뿐이다. 뒤편으로는 구룡산과 대모산을 오르는 등산객들이 발걸음을 재촉했다.
2011년 개발 결정 이후 방식을 두고 진통을 겪었던 서울의 ‘마지막 판자촌’은 공영개발로 사업 노선이 정해졌음에도 불구하고 인근 지역 주민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A공인중개업소 대표는 “공영개발로 확정되면서 도시정비 차원에서 주변 환경이 정리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입지가 워낙 좋고 주변 지역도 개발되고 있는 만큼 개포주공1~4단지 등 인근 아파트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12년 8월 시의 수용·사용방식과 환지방식을 혼용하는 도시개발사업으로 계획이 발표된 이후 시와 강남구, 일부 주민들은 개발 방식을 두고 갈등을 빚었다. 수용·사용방식은 사업시행자가 토지를 취득해 사업을 진행하는 방식이고, 환지방식은 사업시행 후 땅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작년 11월에는 구룡마을을 100% 수용사용방식 공영개발로 확정하는 '개포 구룡마을 도시개발사업 구역지정 및 개발계획’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했다. 서울주택도시공사(이하 SH공사)에 따르면 4개월이 지난 현재 구룡마을에 거주하는 1000가구 가운데 30여 가구가 이주를 시작하고 있다. 오는 21일까지는 거주민 협의체에 참여할 주민들을 모집한다.
결정된 도시개발구역은 총 면적 26만6304㎡로 △주거용지 45.5% △도시기반시설용지 50.5% △기타시설용지 4%로 개발될 계획이다. 임대 1107가구를 포함해 총 2692가구가 들어선다.
작년 12월 사업주체가 된 SH공사에 따르면 이주민은 희망에 따라 국민임대아파트와 다가구 주택 등으로 이주하게 된다. 이후 주택 보유 여부 등을 따져 임대 아파트 입주 조건을 확인하게 된다.
지난달에는 구가 대법원에서 열린 구룡마을 개발 관련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사업이 급물살을 타기도 했다. 2014년 구룡마을 토지주 100여명은 토지주가 주체인 미분할 혼용방식을 주장했고, 이에 구는 분할하지 않는 수용·사용방식 공영개발을 주장한 바 있다.
SH공사에 따르면 구룡마을은 오는 5월까지 토지·물건조사를 실시한 뒤 이를 토대로 감정평가를 거쳐 보상 절차에 들어간다. 강남구는 오는 2020년 12월까지 사업을 끝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