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공시제도 전후 공매도 거래비중 '뚝'

2016-07-01 07:47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서동욱 기자 = 공매도 거래 비중이 연중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다. 30일 시행된 공매도 공시 제도가 효과를 본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국내 증시 전체 거래대금에서 공매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2.7%로 나타났다. 특히  제도 시행 하루 전인 지난 29일의 공매도 비중은 2.56%로 연중 최저치까지 떨어졌다.

연중 최고치였던 지난 5월13일의 6.84%와 비교하면 4%포인트 이상 급감한 수치다. 올해 들어 일평균 공매도 비중은 3~6%대였다.

공매도 거래가 갑자기 줄어든 것은 특정 종목 주식발행 물량의 0.5% 이상을 공매도할 경우 금융감독원에 현황을 보고토록 하는 공매도 공시 제도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보고 시한은 의무 발생 시점으로부터 사흘 내이고, 한국거래소는 금감원에서 자료를 넘겨받아 장 마감 후에 공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자가 있을 경우 첫 관련 공시는 오는 5일 이뤄지게 된다.

공매도는 일반적으로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팔고, 향후 주가가 하락하면 해당 주식을 사서 공매도분을 상환하고 시세 차익을 얻는 투자 기법이다.

주로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들이 활용해 왔는데 주가 하락을 부채질한다는 이유로 공매도 금지를 주장하는 의견들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었다.

공시 대상이 되어 공매도 현황이 그대로 드러날 경우 개인 투자자들의 원성을 살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기관들은 공매도 전략을 적극적으로 펴는데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

한편, 공매도를 활용해 주가 상승이 예상되는 종목은 사고(long),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은 빌려 팔아(short) 차익을 남기는 롱숏펀드를 주력 상품으로 취급하는 자산운용사들은 투자전략이 노출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