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수지 24개월만에 적자 전환…수출전선 '빨간불'(종합)

2012-02-01 10:13
  • 글자크기 설정

<2월 수출입 전망 추가>

(아주경제 김선환 기자) 1월 무역수지가 우려했던 대로 2년만에 적자로 전환되면서 연간 수출전망에 적신호가 켜졌다.

1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1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 같은 달에 비해 6.6% 감소한 415억 달러, 수입은 3.6% 늘어난 434억94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수출이 감소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로 전세계 경기가 꽁꽁 얼어붙었던 지난 2009년 10월(-8.5%) 이후 27개월만이다.

이에 따라 지난달 무역수지는 19억57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무역수지가 적자로 전환된 것은 지난 2010년 1월(-8억100만 달러) 이후 24개월만에 처음으로 올해 무역수지 250억 달러 흑자를 예상하고 있는 정부 목표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다만 작년과 달리 올해 설연휴가 1월에 끼어있어 제조업체들의 조업일수가 크게 줄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달까지는 지켜봐야 추세적인 하락여부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정부는 보고있다.

품목별로는 석유제품(39.5%), 일반기계(6.7%), 자동차(4.1%)을 제외한 주요품목 수출이 대부분 줄었다.

특히 지난해 무역 1조 달러 달성에 크게 기여했던 석유화학(-3.0%)·자동차부품(-0.8%)이 감소된 것을 비롯해 최근 재정위기로 금융지원이 위축되고 있는 선박(-41.5%)이 급감했다. 또 반도체(-8.5%), 액정디바이스(-14.6%), 무선통신기기(-39.7%) 등 IT 수출부진이 지속됐다.

반면 이란발 사태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으로 원자재 수입은 증가세가 이어졌다.

지난달 원유 및 천연가스 도입물량은 각각 7990만 배럴, 368만t로 작년 1월(8430만 배럴·564만t) 대비 줄었지만 도입단가(배럴당 112.8달러·t당 722달러)가 각각 24%, 25%씩 높아져 수입증가를 이끌었다.

자본재 수입 역시 반도체 제조장비(98.5%)를 줌심으로 증가해 (1~20일 누계) 15.9% 늘었지만 작년 1월 68.0% 크게 늘었던 소비재 수입(1~20일 누계) 지난달 증가율은 0.4%로 크게 둔화됐다.

이런 가운데 지경부는 이달 조업일수가 지난달이나 작년 같은달에 비해 각각 1일, 4일이 늘어나고, 자동차, 반도체 등 주요 품목의 수출이 완만한 회복세를 보여 무역수지도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유럽 재정위기 해결이 늦어지고, 이란발 리스크가 커지는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어 무역수지 적자가 추세화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경부 관계자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선박 인도 물량이 줄었고, 선박 금융 불확실 등으로 당분간 수출 증가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지난달 1일 발표한 '2012년 수출입전망'을 통해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6.7% 증가한 5950억 달러, 수입은 8.7% 늘어난 5700억 달러로 250억 달러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