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가전하향 정책 막바지...가전업계 '비상'

2011-07-01 22:27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중국 정부가 경기부양의 일환으로 농촌지역에 염가로 가전제품을 보급하는 가전하향(家電下鄕) 정책 종료 시기가 임박해오면서 중국 가전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중국 신징바오(新京報)는 산둥·허난·쓰촨·칭다오 등 지역에서 시행 중인 가전하향 정책이 올해 11월 만료되는 것을 포함해 다른 기타 지역도 내년 안으로 종료될 것이라며, 그 동안 정부 보조금 정책으로 목숨을 연명해 온 중소형 가전업체들이 심각한 경영난에 부딪힐 것이라고 최근 보도했다.

실제로 최근 중국 가전시장은 이미 포화시장에 달했다. 주요 대도시는 물론이고 지방 중소도시에서도 이미 가전시장은 포화상태다. 이에 따라 대다수 가전기업이 지난 2년 간 유지했던 매출액은 유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말이면 가전업체 매출 증가세가 확연히 둔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그 동안 많은 기업들이 국가 보조금으로 실적을 부풀려 온 게 사실”이라며 “사실은 공장, 대리업체마다 재고량이 넘쳐나고 있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정부가 가전하향 보조금을 지급하면서 혜택을 입으려는 가전 업체 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해 시장이 포화상태에 달했다는 것.

이 관계자는 “가전하향 정책 대상 세탁기 기업은 102개, 냉장고 기업은 200개 가까이 된다”며 “일부 브랜드는 아예 이름조차 들어보지 못한 기업”이라며 “만약 보조금 정책이 완료되면 이들 기업의 매출량이 타격을 받을 것은 불보듯 뻔하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07년 12월부터 산둥·허난·쓰촨·칭다오 4곳에서 가전하향 정책을 시범 실시해 해당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판매가의 13%를 보조금으로 지급했다. 

정책 시행 범위가 중국 전역으로 확대되면서 초기에는 많은 소비자들이 가전 제품을 구매, 내수부양 효과가 즉각 발생했다. 2008년 10월 말에는 초기 시행한 4곳에서 가전하향 해당 제품의 매출량은 350만개까지 늘어났다. 

이후 가전하향 대상 항목은 천문학적으로 급증하면서 2010년 중국 가전하향 대상 제품은 총 7718만대가 판매돼 총 매출액도 1732억 위안까지 증가했다.

그러나 올해 상반기 들어 가전하향 정책의 내수부양 효과는 급감하고 있는 상태다. 중국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올해 4월 가전하향 정책으로 인한 가전제품 판매량은 총 329만8000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31% 줄었다. 5월에도 판매량은 578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0.9% 늘어나는데 그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