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년대에 갇혀 살아가는 사람들

2010-11-12 09:36
  • 글자크기 설정

<연천은 말한다 기획기사 1탄>

 

글 싣는 순서

 

1. 70년대에 갇혀 살아가는 사람들

2. 규제, 규제 또 규제, 주민들 깊은 한숨 몰아쉰다.

3. 군사훈련 뒷감당 수행, 예산 없어 역부족

4. 주민 아닌 주민 군장병들

5. 분단 최접경지역 동막골, 해법은 없나?...

 

70년대에 갇혀 살아가는 사람들...

대통령 한번쯤 오셔서 연천실상 봤으며 소망해...

 


(아주경제 이대희 기자) 연천군은 군사분계선을 기점으로 25㎞ 이내에 모든 지역이 포함돼 각종 규제로 개발이 제한되면서 도시 모습이 1970년대에서 정지된 채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체면적 695.93㎢ 중 98%가 군사시설보호구역으로 묶여 있고 나머지 2% 역시 수도권정비계획법, 국토의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제한 등 온갖 중첩 규제로 주민들의 삶의 질은 피폐해져 있다.

 

또 비교적 번화한 곳으로 알려진 전곡읍내 거리 역시 70년대 풍의 상가 모습과 함께 소설 속에서나 등장할 듯한 연탄난로가 놓인 다방의 모습 등은 정지된 70년대를 연상시키는 듯 했다.

 

연천군의 경우는 국가안보라는 막중한 사명을 띈 지역으로 개발제한에 따른 고통분담 만큼은 국민 모두의 절대적인 공감이 요구되는 지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천은 지역개발이 꽁꽁 묶인 채 군사훈련으로 인한 소음, 진동, 비산먼지, 도로파손 등 특정지역, 특정주민만이 고통을 당하는 인상을 보여주고 있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정부의 대책과 지원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지는 연천군의 실상을 5회 연속 기획보도를 통해 거부할 수 없는 국가안보 논리와 천안함 사태 이후 경색 일로의 남북간 현실 속에 70년대를 살아가고 있는 연천군 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해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한국전쟁 발발 60년주년이라는 반세기 세월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연천군은 남북이 대치한 접경지라는 특성상 군사시설보호법, 수정법 등 7가지 법에 의해 개발 자체가 원천적으로 차단되고 있다.

 

더욱이 그나마 주민들이 살아가는 2%의 면적 역시 수도권정비계획법과 국토의계획 및 이용에관한 법률 등에 의한 제한을 받으면서 연천은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곳이 되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한때 7만에 육박하던 인구수가 지난 몇 년째 감소에 감소를 거듭하면서 올해 9월말 기준 4만4682명까지 줄어 든 것으로 공식 집계됐다.

 

또한 각종 군사훈련으로 인해 도로의 피해와 가옥의 균열 및 소음, 분진 등이 지역 주민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고 있어 견디다 못한 주민들이 지역을 등지고 떠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군 재정상황인 자립도가 26.9%로 경기도 최하위에 머물고 있는 실정임에도 불구하고 연천군이 최근 몇 년간 군부대에 지원한 예산이 100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개선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주민들은 “표는 없지만 민심의 목소리”라며 대통령이 연말에 군부대 등을 방문할 때 “북과 가장 가까운 28사단 태풍전망대를 방문하고 연천군을 들려 지역의 실상과 주민들의 피해를 한번쯤 봐 주었으면 한다.“ 고 입을 모았다.

gtwl9498@naver.com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