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금융지주의 비이자이익 규모가 5년째 제자리걸음이다. 홍콩 H지수 주가연계증권(ELS)과 같은 불완전판매 논란이 잇달아 발생하면서 금융당국의 규제가 강화된 탓이다. 은행의 이른바 ‘이자 장사’에 대한 비판은 갈수록 커지는데 정작 비이자이익을 확대할 만한 활로는 규제에 막혔다는 지적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는 지난 5년간 비슷한 비이자이익 수준을 보이고 있다. 2019년 10조3865억원이던 비이자이익은 지난해에도 10조5190억원을 기록했다. 2021년 11조6840억원으로 소폭 오르기도 했지만, 다음 해 바로 6조8390억원까지 절반가량 크게 떨어졌다.
올해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 4대 금융지주의 비이자이익 향방은 엇갈렸지만 연간 기준 총합은 10조원대를 크게 벗어나지 않을 전망이다.
금융지주의 비이자이익이 늘지 못하는 것은 근래 들어 지속적으로 발생한 불완전판매 논란이 규제 강화로 이어진 결과다. 앞서 2020년 금융당국은 파생결합펀드(DLF) 관련 대규모 원금 손실 사태가 발생하자, 불완전판매 재발 방지를 위해 은행별로 주가연계신탁(ELT) 상품의 취급 총량을 규제하기 시작했다. 이후 은행들은 비이자이익 신탁 부문에서 수익성 성장에 한계가 생겼다.
올해 홍콩 H지수 ELS 사례도 마찬가지다. 금융당국은 H지수 ELS 판매 당시 은행에서 불완전판매가 이뤄진 것으로 보고, 은행 대상 다양한 측면에서의 제도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다. 구체적인 방안은 연내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다시 한번 불완전판매 논란이 비이자이익 규제 강화로 이어지는 셈이다.
여기엔 향후 은행이 ELS 같은 고위험 금융투자상품을 판매하지 못하게 하는 안건도 함께 논의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 경우 사실상 비이자이익 확대 방안이 하나 없어지게 된다. 다만 이미 은행들은 홍콩H지수 ELS 사태로 고위험 금융투자상품 판매가 크게 위축됐고, 이를 통한 비이자이익 확대는 당분간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이자 부문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4대 금융지주는 올해 상반기에도 역대 최대 수준의 이자이익 20조7720억원을 냈다. 상반기 기준 이자이익은 매년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이에 주요 계열사인 은행에 대해 예대금리차(예금금리와 대출금리 차이)로 쉽게 수익을 늘린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