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증권학회는 27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블록체인 기술의 미래 – 디지털 자산시장의 발전 방향 모색'을 주제로 정책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윤성관 한국은행 디지털화폐연구부장은 이날 심포지엄에서 "한국은행은 최근 현금 이용 감소와 경제금융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하는 점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며 "디지털 자산의 토큰화, 지급수단의 토큰화를 병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부장은 안전한 디지털자산 거래를 뒷받침하기 위해 사이버 경제 내 결제자산을 제공하는 중앙은행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실물경제와 달리 사이버경제의 지급수단은 명확히 합의되지 않았다"며 "스테이블 코인은 법제화가 안 됐고 중앙은행의 역할도 정립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윤 부장은 “CBDC 결제를 통해 결제 실패, 시스템 오류 공포 등을 없앨 수 있다”며 “CBDC 화폐를 통해 시스템 오류 등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조각투자를 활용한 디지털자산 시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토큰화 자산시장(조각투자) 규모는 2030년까지 약 11배 성장할 것으로 한국은행은 전망하고 있다.
조각투자 결제 수단 외에도 증권시장 내에서도 CBDC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윤 부장은 "CBDC의 장점은 24시간 매일 운영될 수 있다는 것"이라며 "토큰화를 하면 기존 지급준비금을 보관하는 중개기관은 감소하고, 고객과 회사를 직접 연결해 관련 업무를 단축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전 세계 중앙은행은 토큰증권 결제에 대비해 중앙 디지털화폐(wCBDC)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윤 부장은 "wCBDC 기반 국가 간 지급결제 시스템 도입으로 국가 간 결제 시간대가 확대될 것"이라며 "국제적으로 증권 결제 주기가 T+0일까지 단축된다면 wCBDC가 그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발표를 맡은 류지해 미래에셋증권 디지털자산 태스크포스(TF) 이사도 "한국은행이 CBDC를 활용해 증권 지급결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CBDC를 활용해 향후 자산의 토큰화가 글로벌로 연결될 수 있다"고 짚었다.
미래에셋증권은 하나증권과 함께 토큰증권 인프라를 구축, CBDC를 활용한 지급결제 방안을 공동 기획하고 있다.
그는 "한국은행을 중심으로 시중은행도 CBDC의 활용과 적용을 고민하고 있고, 이를 토큰증권과 증권 결제시 지급 결제 수단으로 활용하는 금융 인프라 연결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민간 차원에서 플랫폼을 만들고 있지만, CBDC를 기반으로 하나의 국가 인프라로 연결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기대했다.
그는 "가장 주목해야 할 나라는 싱가포르다"며 "아시아의 금융허브로 다양한 글로벌 금융 기업들이 싱가포르에서 규제 샌드박스를 활용해 여러 테스트를 거치고 있다"고 예를 들었다.
그러면서 류 이사는 "한국은 규제 틀에 막혀 시도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빨리 입법화해 글로벌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는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