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윤석열 대통령 직무 정지와 함께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되면서 정상외교 차질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 취임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으면서 양국 관계 대응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잇달아 나온다.
22일 정치권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을 앞두고 정부는 물론 여야도 참여하는 외교적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앞서 2016년 12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황교안 국무총리가 대행을 맡았고, 이듬해 1월 트럼프 행정부 1기가 출범했다. 황 대행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지 열흘이 지난 2017년 1월 30일 처음으로 전화 통화를 했고, 정권 교체 후 문재인 대통령은 그해 6월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현 탄핵 정국에서는 한·미 양자 정상회담이 성사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미국 현지 전문가도 예측한 상황이다.
미국 내 한반도 전문가 중 한 명인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17일(현지시간)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팟캐스트 방송에 출연해 "한덕수 권한대행이 트럼프 당선자와 나란히 다자 회의에 참석하면 서로 만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트럼프가 한국에 가거나 반대 상황(한 대행이 방미)이 일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 대행과 트럼프 당선자가 회동할 가능성에 대해 "(헌법재판소) 재판에 달려 있을 것"이라며 "헌법재판소가 탄핵을 인용하면 한국은 60일 내에 대선을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한 대행이 한·미 동맹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에는 "양국 군사, 정보·외교 당국자들이 대부분 자리를 지키고 있어 한·미 동맹 작동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답했다.
국내 전문가들 역시 양측 간 만남을 회의적으로 보고 있으며, 의원 외교를 강화하면서 불안정한 정치 상황을 해결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지적한다.
김흥종 전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트럼프가 한 대행을) 아마 만나주지 않을 것"이라며 "트럼프는 앞으로 계속 집권할 사람이지만 권한대행은 금방 끝날 사람"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 기업의 핵심 이익을 위해 의원들과 접촉해야 한다"며 "트럼프 쪽 공화당 인사에 집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지난 18일 기자간담회에서 관련 질문에 대해 "이번 사태로 그전에 구축해 놨던 소통의 정치적 동력이 좀 약화한 측면이 있다"며 "그 동력을 회복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어 "제약이 있는 환경에서도 단시일 내에 동력을 회복하기 위해 정부가 전력투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