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언론, 尹 중앙아 3국 순방 관련 광물 성과 초점…16건 보도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국 순방에 대해 현지뿐만 아니라 주요 국가의 언론에서도 관련 보도를 내면서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영미권에서는 이번 순방 핵심 주제인 에너지, 기술, 제조업 분야에서 한국의 기술력과 중앙아시아 국가에 풍부한 자원이 결합하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는 내용으로 영국이 3건, 미국이 2건을 보도를 냈다.

    이 중 미국의 더플로맷의 보도에는 '한국은 지난 이명박 정부 이래 중앙아시아와의 협력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였고, 이번 순방을 통해서도 에너지 위주의 제도적인 협력 틀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중견 국가로 성장한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 위치가 견고하지만,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온 중국, 러시아에 비해 호감도가 높다는 점이 장점이다'란 내용이 담겼다.

  • 글자크기 설정

투르크·카자흐·우즈베크, 하루 평균 40건 이상 보도

'K-실크로드 구상' 긍정 평가·협력 확대 주목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오전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대통령궁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오전(현지시간)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대통령궁에서 열린 공식환영식에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오른쪽)과 함께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3국 순방에 대해 현지뿐만 아니라 주요 국가의 언론에서도 관련 보도를 내면서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3국이 구소련의 영향권에 있는 것에 따라 러시아에서도 다수의 보도로 순방 성과 등을 전했다.

14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언론들은 윤 대통령의 방문 기간 하루 평균 40건 이상을 보도했다. 보도에서는 정상회담의 성과, 향후 협력 전망 등을 대대적으로 다뤘다. 
특히 우리나라 최초의 중앙아시아 특화 지역 전략인 '한-중앙아 K-실크로드 협력 구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한국과의 실질적인 경제, 과학기술, 인적 교류 등 협력 확대와 관계 강화에 주목했다.

국가별로 보면 투르크메니스탄은 투르크멘 듄야시가 '양국 관계의 새로운 흐름을 정의하고 설정했다'는 내용의 1면 기사를 포함해 일간지에서 10건, 통신에서 4건, 방송에서 6건, 온라인에서 12건 등 총 23건을 보도했다.

카자흐스탄은 국영방송에서 "한국 대통령 방문은 '역사적 사건'"이라고 보도한 것을 비롯해 일간지에서 19건, 통신에서 35건, 방송에서 26건, 온라인에서 31건 등 무려 111건의 보도가 나왔다.

우즈베키스탄은 윤 대통령과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하루 앞둔 13일 나로드노예 슬로보가 1면과 2면에 기사를 싣는 등 일간지에서 22건, 통신에서 14건, 방송에서 9건, 온라인에서 13건 등 총 58건을 보도했다.

영미권에서는 이번 순방 핵심 주제인 에너지, 기술, 제조업 분야에서 한국의 기술력과 중앙아시아 국가에 풍부한 자원이 결합하면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평가하는 내용으로 영국이 3건, 미국이 2건을 보도를 냈다. 

이 중 미국의 더플로맷의 보도에는 '한국은 지난 이명박 정부 이래 중앙아시아와의 협력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였고, 이번 순방을 통해서도 에너지 위주의 제도적인 협력 틀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중견 국가로 성장한 한국은 미국의 동맹국 위치가 견고하지만,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해 온 중국, 러시아에 비해 호감도가 높다는 점이 장점이다'란 내용이 담겼다. 

인접국 중 러시아는 이들 3국이 과거 구소련의 영향권에 있고, 여전히 러시아어가 광범위하게 통용되고 있어 통신에서 3건, 일간지에서 13건 등 총 16건으로 비교적 보도가 많았다.

러시아 매체는 한국 최초의 중앙아시아 전략 발표와 정상외교 결과에 관심이 많았고, '글로벌 중추 국가'의 비전 실현을 위해 중앙아시아 3국을 방문한 것에 촉각을 세웠다. 무엇보다도 에너지, 스마트시티, 희토류 등 광물 관련 성과에 초점을 맞췄다. 

또 다른 인접국인 아제르바이잔은 11건, 키르기스스탄은 2건, 튀르키예는 2건, 파키스탄은 4건을 각각 보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1개의 댓글
0 / 300
  • ㅈㆍㄱ즈져전라도를찌져주겨불살라주겨피를말러주겨돌로쳐주겨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