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4년간 과학 일자리 5.3% 늘 때 이공계 대졸이상 3.6% 증가 그쳐"

2024-05-28 13:30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최근 국내 과학기술 분야 일자리가 빠르게 늘고 있으나 이공계 대졸자 배출은 이에 못미처 미래 인력 부족이 우려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공계열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는 566만명으로 같은 기간 14.3% 늘었지만 과학기술인력의 증가율(20%)에 미치지 못했다.

    경총 관계자는 "과학기술 분야에 고급 인력을 공급하는 이공계의 졸업자 배출 속도가 계속해서 더져지면 장기적으로 과학기술인력의 공급 부족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 글자크기 설정

경총, 과학기술인력 고용 특성 분석

"육성 정책·분야별 맞춤 지원 필요"

최근 국내 과학기술 분야 일자리가 빠르게 늘고 있으나 이공계 대졸자 배출은 이에 못미처 미래 인력 부족이 우려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공학 분야에서는 고령화도 진행되고 있다.

28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내놓은 '과학기술인력의 고용특성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월 기준 국내 과학기술인력은 196만1000명으로 2020년 4월 대비 20% 늘었다. 4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5.3%에 이른다. 코로나19 이후 인공지능(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이 가속하면서 과학기술 분야의 일자리도 빠르게 늘었다.

하지만 과학기술인력의 화수분 역할을 하는 이공계열의 석·박사 포함 졸업자의 배출 속도는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공계열 학사 학위 이상 소지자는 566만명으로 같은 기간 14.3% 늘었지만 과학기술인력의 증가율(20%)에 미치지 못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3.6%다.

경총 관계자는 "과학기술 분야에 고급 인력을 공급하는 이공계의 졸업자 배출 속도가 계속해서 더져지면 장기적으로 과학기술인력의 공급 부족 사태가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과학전문가는 10만3000명으로 지난 4년간 연평균 7.4% 증가했다. 20~30대 젊은 인력의 비중이 69.2%로 높았고 월 평균 임금 수준은 400만원이다. 석·박사 학위를 소지한 고학력자 비중이 56.2%로 전체 노동시장에서 가장 높았다.

정보통신(ICT)전문가는 40만1000명으로 연평균 5.6% 늘었다. 남성은 83.6%, 여성은 16.4%로 남성 인력의 비중이 월등했다. ICT 직종 사업체의 인력 미충원율은 26.7%로 전직종을 통틀어 가장 높았다. 지원자가 많아도 기업이 원하는 인력이 부족하다는 얘기다.

공학전문가는 73만6000명으로 연평균 6.2% 증가했다. ICT 분야처럼 남성인력 비중(87.6%)이 높아 공학기술 분야에 여성인력 진출과 육성이 원할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50대 이상 인력 비중은 24.4%로 과학전문가(10.0%)나 정보통신전문가(14.5%)에 비해 고령 인력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월 평균임금은 507만원으로 다른 과학기술 인력보다 많았다.

김선애 경총 고용정책팀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려면 대학 교육시스템 혁신과 청년·여성인력 활용 확대 등 다각적인 인재 육성정책을 통해 첨단과학 기술 인재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사진=한국경영자총협회]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