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승연의 타임캡슐] 아시나요 그때 그 시절 …국제결혼 떠났던 한국 여성들

2024-01-09 06:00
  • 글자크기 설정
황승연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황승연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여당의 비상대책위원장이 된 한동훈 전 법무장관은 재임 중에 우리나라의 인구절벽 문제 해결 방안으로 외국인 인력 유입책을 발표하고 이민청 신설을 발표했다. ‘단일민족 대한민국’도 외국인을 받아들이는 나라가 되고 있다.
 
스롱 피아비(Sruong Pheavy)라는 캄보디아 출신 프로당구 선수가 있다. 28세나 차이 나는 한국인 남자를 만나 결혼했다. 고국에서 중학교를 중퇴하고 부모님을 도와 농사를 지었다고 한다. 결혼 후 한국으로 건너와 남편에게 당구를 배웠다. 당구 재능을 발견한 남편은 코치를 붙여 제대로 배우게 한 후 그녀를 프로당구 선수로 데뷔시켰다. 그 후 세계 챔피언에까지 오른다. 캄보디아에서 유명해져서 현지 어린이들이 가장 닮고 싶어하는 롤모델이 되었다.
 
내가 독일에 유학하던 시절은 1980년대 중후반 전후 8년간이다. 그 당시 나는 스롱 피아비와 유사하게 한국 여성이 독일인 남성과 결혼한 사례를 많이 보았다. 외국인과 결혼한 우리나라 여인들. 지금은 대한민국 길거리에 베트남 여성과 국제결혼을 알선한다는 현수막을 종종 본다. 나의 유학 시절, 독일에서는 태국 여성들과 함께 우리나라 여성들도 국제결혼의 대상이었다.
 
독일에서 유학 시절을 보내며 만난 사람들을 몇 부류로 나누면 유학생, 광부와 간호사로 독일에 와서 가정을 이루고 사는 사람들, 독일 남성들과 결혼하기 위해 독일로 온 한국 여성들 그리고 독일 주둔 미군과 결혼한 한국 여성들이었다. 앞의 두 부류는 알려져 있으나 뒤의 두 부류는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다. 타임캡슐에 담겨야 할 얘기들이라 생각되어 기억을 더듬었다.

사진결혼으로 독일에 건너온 한국 여성들

1980년대 초에는 대한민국이 제3세계 후진국으로 분류될 때였다. 우리나라가 그리 후진 나라인 줄 몰랐는데 후진국임을 실감하는 일들을 차츰 겪게 되면서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 현지 한인들의 인적 구성을 보며 냉정한 현실을 체감하게 됐다.
 
유학한 도시가 작은 도시는 아니었으나 알려진 도시도 아니었다. 이 도시에 사는 사람들은 한국 유학생들이 10명 내외였고 나머지는 광부나 간호사로 왔다 가정을 이룬 사람들이 주류였다. 주목을 끈 사람들은 독일인과 결혼한 한국 여성들이었다. 이들은 독일어를 잘 못했고 당연히 직장도 없었다. 어떻게 왔는지 궁금했으나 대놓고 물어볼 수 없었다. 아무도 얘기를 꺼내지 않았다. 그 사연을 알기까지 시간이 제법 흘렀다.
 
그 여성들은 한국에서 모집 광고나 지인의 소개로 돈을 내고 사진 속 독일 남성을 골라서 결혼을 조건으로 독일에 온 사람들이었다. 당시는 해외여행이 허용되던 때가 아니어서 여권을 받는 것이 힘들고 비자를 받는 것은 더 힘들었다. 독일에서도 한국 여성과 결혼하기를 원하는 남성들을 모집하는 광고를 냈다고 한다. 한국 여성들은 나이가 그리 어리지 않았다. 모두 한국에서 사회생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 그들끼리 다투면서 나온 얘기라는데, 술집에서 접대부를 하다 온 여성도 있고 음료 외판원을 하던 여성도 있었다. 당시는 항공료가 싸지 않아서 한번 오면 쉽게 돌아갈 수 없는 그런 사정에 놓인 사람들이었다. 한국 여성과 결혼한 독일 남성들은 대체로 한 번 이상 이혼한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겉으로 보기에 지극히 정상인 사람들이고 신사들로 보였다. 학력이 낮은 사람들이 아니었다. 그들에게 왜 그런 선택을 했는지는 물어보지 않았지만 드센 독일 여성에 질렸다는 느낌을 받았다. 말이 잘 통하지 않는 남녀가 사진으로 만나 짝을 정하고 현지로 와서 혼인 신고를 하고 살았다. 어떤 커플은 아이도 낳고 살았다. 당시 그 지역에 그런 식으로 한국에서 온 여성이 수십 명이었다.
 
문화적 충격이나 갈등이 없다면 오히려 그게 정상이 아니다. 한국인 부인이 돈벌이를 할 수 없으니 남편에게 생활비와 용돈을 타서 쓰는 것은 당연했다. 그런데 부인이 정해진 용돈을 받은 후 식당에 가더라도 부부가 계산을 각자 한다는 얘기를 하며 그 충격을 얘기했다. 다른 에피소드도 있었다. 한국 부인이 한국에서 갖고 온 물건을 본 독일 남편이 자기에게 선물하기를 요청했다. 부부간에 소유를 따질 일인가 해서 줬더니 남편이 자기 서랍에 넣어두고 자물쇠로 채워서 다시는 구경하지 못했다는 얘기도 했다. 신세한탄의 긴 한숨 속에 차마 말 못하고 앓고 있던 속사정이 속옷 삐져나오듯 비쳤다.

독일에서 만난 미군들과 결혼한 한국 여성들
 
또 다른 부류의 여성들은 한인교회에서 만난 미군들과 결혼한 여성이다. 한 동료 유학생 부부가 하루는 인근 도시에 한인교회가 생겼다며 한번 가자고 했다. 차로 한 시간가량 떨어진 곳이었다. 그곳에는 유럽 최대 규모의 람슈타인 미군 공군기지(Ramstein Air Base)가 있었다. 이 공군기지에 근무하는 미국 군인 혹은 군무원들과 결혼한 한국 여성들을 구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교회가 있었다. 미국 LA에 있는 ‘동양선교교회’라는 대형 교회에서 목사와 선교사를 파견하였다. 설교는 한국어와 영어로 하였다. 교인들은 주로 한국 여성들이었고 드문드문 남편들이 함께 예배에 참석했다.
 
그 여성들의 남편 중 간혹 백인들도 있고 장교들도 있었지만 대부분 흑인이거나 히스패닉이었다. 계급도 장교는 드물었다. 소령이 얼마나 높은 계급인지 그때 알았다. 소령 부인은 입는 옷이 달랐고 표정이나 걷는 태도도 달랐다. 한번은 남편이 대령인 어떤 여성이 교회에 왔는데 그녀 주변으로 여성들이 모여들었다. 마치 영부인처럼 행세하는 대령 부인에게 그녀들이 시중들듯 하던 모습이 기억난다. 그 교회에 다니던 여성들은 지극히 착해 보였다. 간혹 주워들은 얘기에서 짐작해보면 집안 형편이 찢어지게 가난해서 자신이라도 돈을 벌어야 부모님 봉양하고 동생 공부도 시킬 수 있어서 미군들이 있는 곳으로 와 이런저런 일들을 하다가 미군과 결혼하게 된 경우였다. 그리고 한국에 주둔하다 본국으로 돌아가는 남편을 따라 미국으로 갔다가 순환근무 원칙에 따라 다시 독일 근무 명령을 받은 남편을 따라 람슈타인으로 온 사람들이었다. 확인할 수 없었으나 당시 독일에 주둔하는 미군과 결혼한 한국 여성들의 숫자가 3000명에 이른다는 얘기를 목사한테 들었다. 소련과 첨예하게 대립하던 때였다. 독일에 있는 미군기지가 람슈타인뿐 아니고 여러 곳에 더 있었고 주둔 미군의 숫자도 5만명에 가까웠다. 그 한인교회에 나오던 한국 여성들이 100여 명은 넘어 보였다. 모두 합하면 한국 여성들이 3000여 명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들에게 어찌 순탄한 결혼생활만 있었겠나. 남편과 헤어진 여인들은 미국도 독일도 아닌 독일의 미군기지 주변 그 낯선 곳에서 식당이나 술집에서 단지 혼자 잠잘 곳과 하루의 양식을 위해 서비스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그들은 항공료를 모으면 어디로 갔을까. 미국일까, 한국일까.
 
미군과 결혼하여 독일에 온 한국 여성들. 그들의 과거가 어떻든 이국땅에서 향수를 달래고 외로움과 싸우며 문화적 갈등에 지친 심신을 위로받고자 교회에 나와 한국어로 예배를 보고 한국 음식을 나누는 모습에 경건한 생각이 들었다. 그들과 유학생들이 깊은 얘기를 나눌 기회는 많지 않았지만 나는 그들의 문화적인 적응 과정에서 심리적 충돌이 빚어지는 현장을 목격할 수 있었다. 그 속에서 여러 부류 인간의 다양한 삶을 관찰할 수 있었다. 세월이 흘러 내가 독일에 처음 도착했던 때가 어느덧 40년 전이다.

헬조선 대한민국에 오는 것을 꿈꾸는 사람들
 
독일 남성과 결혼하기 위해 독일로 온 한국의 여성들 그리고 미군과 결혼해 독일로 파견된 남편을 따라 그곳에 온 한국 여성들. 40년 전 우리의 모습이다. 그 후 몇 년이 지나고 우리나라에서 올림픽이 개최되었다. 당시에 독일 TV에 나오는 한국의 모습은 늘 수천~수만 명이 모여 시위하고 최루탄을 쏘고 분신하는 장면이었다. 전형적인 미개한 후진국의 모습이었다. 88올림픽 전후 처음으로 한국의 문화를 중립적으로 소개하는 TV방송을 보고 가슴 뭉클했던 기억이 있다.
 
올림픽 후 독일인들과 사진결혼을 하기 위해 오는 여성들은 더 이상 보이지 않았다. 한국에 주둔한 미군과 결혼하는 한국 여성들도 크게 줄었을 것이다. 그로부터 불과 20년 후 우리나라 농촌 총각들과 사진결혼하겠다고 여러 나라의 여성들이 줄을 서던 시절이 있었다. 이제는 정부가 나서서 이민자들을 환영하겠다고 한다.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여성부터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여성들까지 제2의 스롱 피아비가 되려고 한국으로 오는 것을 꿈꾸고 있는 여성들을 위해 이민청을 만든다고 한다. 물론 조선소에서 일할 남성들도 수천 명 단위로 받는다. 한국인들이 독일에 광부와 간호사로, 중동 국가들에 건설노동자로, 스페인에 병아리 감별사로 나가려고 했던 때가 바로 엊그제처럼 기억에 또렷이 남아 있는데.
 
누가 그랬던가? 우리나라가 헬조선이 되어 간다고? 그래서 행복지수가 높은 부탄 같은 나라가 되어야 한다고. 그 부탄에서도 이 지옥 같은 한국에 오는 것이 소원이라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황승연 필자 주요 이력

▷독일 자르브뤼켄 대학교 사회학 박사 ▷전 경희대학교 (주)데이콤 공동 정보사회연구소장 ▷전 한반도 정보화추진본부 지역정보화기획단장 ▷경희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 ▷굳소사이어티 조사연구소 대표 ▷상속세제 개혁포럼 대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