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렘수면행동장애와 그 전구(전 단계) 증상의 특징을 세계 최초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내놨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신경과 윤창호·이우진 교수,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신철 교수 공동연구팀이 렘수면행동장애와 그 전구 증상의 지역사회 유병률과 임상 특징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신경과학 분야 상위 5% 이내의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Neur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에 따르면 렘수면행동장애는 발병 후 12년 내에 73.5%가 파킨슨병, 루이소체치매, 다계통위축, 알츠하이머병 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진행될 뿐 아니라, 렘수면행동장애 전구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도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발전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공동연구팀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렘수면행동장애와 그 전구 증상의 유병률 및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다. 지역사회 코호트에 포함된 1075명(50~80세, 남자 53.7%)을 대상으로 수면다원검사와 렘수면행동장애 선별검사 설문지, 전문의에 의한 병력 청취를 시행해 분석했다.
렘수면행동장애는 꿈속에서의 행동이 실제 움직임으로 이어지는 ‘꿈-행동화’와 근육의 긴장도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는 ‘렘수면무긴장 소실’이 함께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렘수면행동장애의 전구증상은 이 중 한 가지만 나타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렘수면행동장애의 유병률은 1.4%, 렘수면무긴장 소실과 꿈-행동화는 각각 12.5%, 3.4%의 유병률을 보여 렘수면행동장애 전구증상이 일반 인구에서 상당히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렘수면행동장애의 전구증상인 렘수면무긴장 소실과 꿈-행동화 사이 상관관계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두 전구증상 간 임상적인 특징이 매우 다르다는 것을 뜻한다. 연구팀은 각 전구 증상에 대한 별도의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렘수면행동장애 전구증상에서 렘수면행동장애 와 주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진행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윤창호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향후 전구증상 이후 렘수면행동장애와 신경퇴행성 질환으로의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발굴해 적극적으로 질병을 선별하고,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