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상 암 관련 치료 정보의 절반 이상이 광고성인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부정확한 온라인 정보에 대해 경각심을 가지고 주치의와 상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대한종양내과학회과 대한항암요법연구회는 22일 ‘항암치료의 날’을 맞아 서울 용산구 소재 몬드리안 서울 이태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주요 암 정보의 신뢰성 분석’을 주제로 진행된 이번 간담회에선 암 치료 정보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하고 올바른 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디지털 리터러시를 높일 수 있는 행동 수칙을 발표했다.
이번 조사 대상은 온라인 포털인 네이버와 구글 겸색 시 상위에 노출되는 위암, 간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폐암, 갑상선암 등 국내 발병률이 높은 7대 암 관련 게시글 919건이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뢰성이 떨어지는 암 치료 정보는 대부분 블로그(96.0%)를 통해 유통되고 있었다. 암 치료 정보 혹은 암 투병 경험 관련 내용에 병원 홍보나 광고 내용을 같이 작성하는 ‘광고성 포스팅’은 분석 대상의 48.6%에 달했다.
광고성 콘텐츠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게시자는 한방요양병원(26.8%)이었으며, 광고성 콘텐츠가 주요하게 게시되는 채널은 블로그로 전체의 60.4%를 차지했다.
특히 광고성 포스팅 비율이 높은 암종은 유방암(65.3%)이 가장 높았다. 이어 대장암(55.2%), 위암(53.7%) 순이었고, 간암(33.3%), 췌장암(34.5%) 순으로 조사됐다.
최원영 대한종양내과학회 홍보위원은 “최근 암환자들이 온라인을 통해 암 정보와 치료 관련 정보를 찾는 비율이 높아졌다”면서 “다만 광고성 콘텐츠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환우들이 스스로 온라인에서 유통되는 암 정보의 신뢰도를 파악할 수 있는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나 학회 등 검증된 출처에서 나온 정보인지 확인하고, 글을 작성한 사람과 의견을 제시한 출처가 어디인지 살펴보는 게 좋다”며 “최근 5년 내 업데이트된 내용인지 시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