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이 1년 전보다 3.5%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정은해)는 내년 말 예정된 '2022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통계' 확정에 앞서 25일 잠정배출량을 공개했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이 2.6% 증가한 가운데도 감소세를 이어간 것이다. 배출 정점을 기록한 2018년 7억2700만t과 비교하면 10% 줄어든 수치다.
센터 관계자는 "지난해 온실가스 잠정배출량은 2010년(6억6900만t)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온실가스 배출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GDP 당 배출량은 10억원당 332t으로 전년보다 5.9% 줄었다. 이는 1990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감소 폭은 다시 커졌다.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년보다 2.5% 늘었지만, 2019년에는 -3.5%를 기록했다. 이어 2020년 -6.4%, 2021년 -3.3%로 내림세를 이어갔지만 감소율은 다소 둔화했다.
지난해 부문별 배출량은 전환 부문에서 970만t, 산업 부문에서 1630만t, 수송 부문에서 80만t, 폐기물 부문에서 10만t이 각각 감소했다. 반면 건물 부문에서는 140만t, 농축수산 부문에서는 30만t이 늘었다.
전환 부문 총발전량은 전년보다 3% 늘었지만 잠정배출량은 4.3% 감소한 2억1390만t으로 집계됐다. 항목별로 보면 원자력발전 발전량은 158.0테라와트시(TWh)에서 176.1TWh로, 신재생에너지는 43.1TWh에서 53.2TWh로 각각 늘고 석탄은 198.0TWh에서 193.2TWh로 줄었다.
산업 부문 배출량은 세계적 수요 축소로 인한 철강·석유화학 생산 감소 등으로 전년보다 6.2% 줄어든 2억4580만t으로 추정됐다. 수송 부문은 휘발유 소비량이 4.2% 늘었지만 경유 소비량이 3.6% 줄고 무공해차 보급이 늘면서 0.8% 감소한 9780만t으로 잠정 집계됐다.
건물 부문은 서비스업 생산 활동 증가 등으로 도시가스 소비량이 늘며 1년 전보다 3.0% 많은 4830만t을 잠정 배출했다. 농축수산 부문은 육류 소비 증가로 한‧육우 사육두수가 4.1% 증가했지만 벼 재배면적이 0.7% 감소하면서 1.0% 늘어난 2550만t으로 추정됐다.
정은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지난해는 GDP가 늘었는데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배출량 감소 추세를 이어가려면 올 4월 관계부처 합동으로 수립한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