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공원은 세계유산, 생물권보전지역과 함께 자연 분야 3대 유네스코 보호 프로그램 중 하나다.
지질유산을 보호하는 제도로서 유네스코에서 지정하는 ‘세계지질공원’과 환경부가 인증하는 ‘국가지질공원’으로 구분된다.
이번에 인증된 의성 국가지질공원은 국내 최대 백악기 퇴적분지인 경상분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1174.68㎢를 공원구역으로 가지며 금성산, 제오리 공룡발자국, 의성 스트로마톨라이트 등 학술적 가치가 높은 지질명소 12곳이 포함된다.
경북도는 이달 말까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로 ‘경북 동해안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지정신청’의향서를 제출하고, 본격적인 준비를 거친 뒤 올 11월까지 유네스코에 세계지질공원 지정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이후 내년 4월까지 유네스코의 서류 평가를 거친 뒤, 5월부터 8월 중에 5일 간의 현장 평가를 받게 된다. 9월에 유네스코 지질공원위원회 심사로 지정 여부에 대한 예비 결과가 발표된다.
최종 지정승인은 그 다음해인 2025년 5월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는 유네스코 봄 정기 총회에서 집행이사회 의결로 결정된다.
한편 2017년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된 청송은 4년마다 받게 되는 재 지정 평가를 코로나19로 인해 2년 정도 연기된 지난해 9월에 받았다.
그 결과 지난 9일 유네스코로부터 재 지정 승인을 통보 받아 2024년 말까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자격을 유지하게 됐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앞으로 경북 도내 국가지질공원 인증과 세계지질공원 지정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해나가겠다”라며 “지질공원제도를 활용해 경북이 가진 천혜의 경관과 자연 유산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코로나 이후 새로운 경북 도약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