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곽 드러낸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이번에는 실현 가능할까

2023-05-31 16:27
  • 글자크기 설정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왼쪽 셋째)이 3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49차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를 진행하고 있다.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왼쪽 셋째)이 3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49차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내 금융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향후 3년 간의 금융중심지 조성·발전 계획이 윤곽을 드러냈다. 금융당국은 향후 금융혁신·디지털화 등에 중점을 두고 서울·부산 등에 금융중심지를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내놓으면서 어느덧 6번째로 마련된 금융중심지 정책 실현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3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제49차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를 열고 ‘제6차 금융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이하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을 심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서울·부산시도 참석해 금융중심지 조성현황과 발전계획을 위원회에 보고했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의 계획이 담긴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은 ‘글로벌 금융시장을 선도하는 금융한국’을 비전으로 한다. 위원회는 비전 달성을 위해 △디지털화, 빅블러 시대에 대응한 금융규제 혁신 △국제 표준과 금융환경 변화에 맞는 금융시스템 구축 △국내 금융기업 해외 진출과 글로벌 금융기업 유치 지원 등을 3대 중점전략으로 제시했다.

이번 기본계획이 확정되면 금융당국은 국내 금융산업이 세계 무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금융혁신을 도모하고 국제적 금융 인프라 구축에 나설 방침이다. 이를 위해 금융·비금융 융합, 핀테크 혁신, 디지털 전환, 지속가능금융 활성화 등에 역량을 집중한다. 이에 더해 자본시장 글로벌화, 금융중심지 내실화 등도 추진해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 해소, 해외금융사 유치 지원 등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서울과 부산은 2009년 금융중심지로 지정된 이후 경쟁력을 갖춰나가고 있지만 ‘동북아 금융허브’가 되겠다던 당초 목표는 이뤘다고 보기 어렵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도시들이 글로벌 금융회사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금융산업의 디지털화라는 구조적 변화에 발맞춰 정보기술(IT) 강국이라는 이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에 담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최근 글로벌 금융환경이 디지털화, 지속가능금융 확산 등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다”며 “달라진 금융환경에 어떻게 대응하는지가 글로벌 금융도시의 경쟁력을 좌우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국내 금융회사의 국제적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금융규제 혁신 △핀테크 기업에 대한 지원 강화 △금융 관련 인프라 확충 △과감한 규제·제도 정비 등을 약속했다. 이날 논의된 제6차 금융중심지 기본계획은 향후 금융위원회 의결을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서울시 관계자는 디지털금융센터·금융특화단지 조성 등을 통해 ‘여의도 금융클러스터’를 확충하겠다는 계획을 위원회와 공유했다.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 환경을 조성하고 핀테크 유망기업·글로벌 금융 전문인력 등을 키우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한편 부산시 역시 ‘부산 금융중심지 발전계획’을 통해 △글로벌 금융중심지 기능 강화 △정책금융중심지 기반 구축 △디지털 금융역량 강화 △해양‧파생 금융혁신 등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