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년 6월 이후 기한이 만료되는 이동통신 3사의 주파수에 대한 재할당 대가를 공개했다. 과기정통부는 과거 경매대가 등을 참조한 4조4000억원을 기준으로, 향후 2년간의 5G 기지국 투자 성과를 반영해 최소 3조2000억원까지 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이통3사는 3조 2000억원은 현실적으로 투자가 어려운 수치를 기준으로 산정했다며 할당 비용이 과도하다고 반발했다.
과기정통부는 17일 오후 공개설명회를 열고 주파수 재할당 대가 산정안을 발표했다. 과기정통부는 이통3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3G와 LTE 등 주파수 310㎒ 폭에 대한 재할당 대가를 최소 3조2000억원에서 최대 4조 4000억원까지 책정했다.
하지만 통신업계는 15만국이 5G 주파수 할당 시 정부가 2023년까지 의무구축을 해야 한다고 지정한 기지국 수인 4만5000국의 세 배가 넘는 수치라고 지적한다. 이통3사는 현재 5G 기지국 구축 속도를 감안할 때 할당 대가를 3조2000억원까지 낮추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본다.
한 통신업계 관계자는 "LTE를 8년간 꾸준히 구축했을 때 가능한 수준을 2년 내에 구축하라는 것"이라며 "2022년까지 3사 모두 10만국 구축도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통신업계 관계자는 "5G 주파수와 LTE 재할당 주파수를 연결시키는 것은 부당결부금지의 원칙을 위배하고 이중부과에도 해당할 수 있어 위법 소지가 있다"며 "적절하지 않은 투자 옵션보다 LTE 가입자의 5G 전환율을 반영하는 것이 훨씬 적절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통신업계는 대가 산정 근거도 문제 삼고 있다. 그간 통신업계는 재할당 대가 산정에 과거 할당대가 반영비율을 50%로 낮춰줄 것을 요구해왔다. 경매 낙찰가는 경매 시점에 따라 그 가치가 계속 변화하므로, 이를 시장가격을 반영한 결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통3사가 산정한 적절한 재할당 대가는 1조6000억원 수준이다. 업계는 4조4000억원은 과거 경매대가가 50% 이상 반영된 결과로 보고 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날 설명회를 통해 업계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한 뒤 법에 따라 재할당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날 공개된 재할당 대가 산정안을 사실상 확정된 것으로 보고 있다"며 "향후 각사별 대응전략을 수립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