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새로운 전략무기가 공개될 것으로 보이는 노동당 창건 75주년 ‘쌍십절’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9일 외교·안보가에서는 올해가 정주년(5·10년 단위로 꺾어지는 해)인 만큼 북한이 오는 10일 ‘쌍십절’ 기념 대규모 열병식을 개최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열병식에 참석해 공개연설을 하고, 이를 조선중앙TV 등을 통해 생중계할 가능성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김 위원장이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에 나서지 않은 것도 그의 공개연설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
노동신문에 따르면 최룡해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박봉주 국무위원회 부위원장, 김덕훈 내각총리 등 당 주요 간부들은 이날 당 창건 75주년을 기념해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했다. 그러나 김 위원장은 불참했다.
김 위원장은 집권 첫해인 2012년을 비롯해 2013년, 2015년, 2018년, 2019년 총 5차례 당 창건일 기념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에 나섰다. 그러나 올해는 정주년임에도 참배에 나서지 않았다.
이에 대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 교수는 이례적이라고 판단하며 김 위원장의 연설준비 가능성을 언급했다.
양 교수는 “(북한은) 올해 당 창건 75주년을 성대히 맞고자 모든 역량을 집중해 왔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 불참은 이례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열병식 연설준비 또는 비공식 현지지도 가능성도 있다”라면서 창건일 당일인 10일 0시 군부 핵심들과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할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부연했다.
김 위원장의 공개연설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북한이 3년 만에 열병식 생중계를 진행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북한의 열병식 생중계는 지난 2017년 4월 김일성 북한 국가주석의 생일인 ‘태양절’ 기념 때가 마지막이다. 2018년에는 남북 대화, 북·미 비핵화 협상 등이 활발해지자 건국 70주년 열병식, 9월 정권수립 70주년 열병식 등을 녹화방송으로만 공개했다.
그러나 현재 남북 대화, 북·미 비핵화 협상 모두가 교착국면에 빠졌다. 또 북한 등 전 세계가 11월 미국 대선 결과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김 위원장의 공개연설을 실시간을 전달해 최고지도자의 지도력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새로운 전략무기도 생중계로 공개해 북한의 국방력 과시 효과를 극대화하려 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통일부는 지난 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은 이번 주 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 등을 규모 있게 진행할 것”이라며 북한이 신형 전략무기 공개를 통해 존재감을 부각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북제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수해 등으로 경제적 성과가 부진한 상황에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이동식 발사차량(TEL),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새로운 전략무기로 국방력을 과시해 비핵화 협상 등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존재감 부각에 초점을 맞출 것이란 얘기다.
이와 관련 북한의 새로운 전략무기는 다탄두 ICBM, 고체연료 ICBM으로 거론되고 있다. 두 전략무기 모두 한반도 안보를 위협하는 무기로 꼽힌다. 다탄두 ICBM은 동시 타격이 가능해 요격이 어렵고, 고체연료 ICBM은 액체연료보다 연료 주입시간이 단축돼 사전 징후 포착이 어렵다.
북한이 미사일 시험발사 등 무력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다만 북한이 미국 대선 전 미국이 설정한 ‘레드라인’을 넘지 않을 것으로 보여 무력시위보다는 ‘전략무기 공개’ 관측에 힘이 실린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지난 7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의 ICBM, SLBM 공개 가능성에 대해 “전략 무기들을 (동원해) 무력시위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미사일 발사, 핵실험보다는 무기 공개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는 관측에 동의했다.
9일 외교·안보가에서는 올해가 정주년(5·10년 단위로 꺾어지는 해)인 만큼 북한이 오는 10일 ‘쌍십절’ 기념 대규모 열병식을 개최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특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열병식에 참석해 공개연설을 하고, 이를 조선중앙TV 등을 통해 생중계할 가능성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김 위원장이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에 나서지 않은 것도 그의 공개연설 가능성에 힘이 실린다.
김 위원장은 집권 첫해인 2012년을 비롯해 2013년, 2015년, 2018년, 2019년 총 5차례 당 창건일 기념 금수산태양궁전 참배에 나섰다. 그러나 올해는 정주년임에도 참배에 나서지 않았다.
이에 대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 교수는 이례적이라고 판단하며 김 위원장의 연설준비 가능성을 언급했다.
양 교수는 “(북한은) 올해 당 창건 75주년을 성대히 맞고자 모든 역량을 집중해 왔다는 점에서 (김 위원장의) 금수산태양궁전 참배 불참은 이례적”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김 위원장이) 열병식 연설준비 또는 비공식 현지지도 가능성도 있다”라면서 창건일 당일인 10일 0시 군부 핵심들과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할 가능성도 열려있다고 부연했다.
김 위원장의 공개연설에 힘이 실리는 가운데 북한이 3년 만에 열병식 생중계를 진행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북한의 열병식 생중계는 지난 2017년 4월 김일성 북한 국가주석의 생일인 ‘태양절’ 기념 때가 마지막이다. 2018년에는 남북 대화, 북·미 비핵화 협상 등이 활발해지자 건국 70주년 열병식, 9월 정권수립 70주년 열병식 등을 녹화방송으로만 공개했다.
그러나 현재 남북 대화, 북·미 비핵화 협상 모두가 교착국면에 빠졌다. 또 북한 등 전 세계가 11월 미국 대선 결과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김 위원장의 공개연설을 실시간을 전달해 최고지도자의 지도력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새로운 전략무기도 생중계로 공개해 북한의 국방력 과시 효과를 극대화하려 할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통일부는 지난 8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은 이번 주 당 창건 75주년 기념 열병식 등을 규모 있게 진행할 것”이라며 북한이 신형 전략무기 공개를 통해 존재감을 부각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북제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수해 등으로 경제적 성과가 부진한 상황에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이동식 발사차량(TEL),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새로운 전략무기로 국방력을 과시해 비핵화 협상 등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존재감 부각에 초점을 맞출 것이란 얘기다.
이와 관련 북한의 새로운 전략무기는 다탄두 ICBM, 고체연료 ICBM으로 거론되고 있다. 두 전략무기 모두 한반도 안보를 위협하는 무기로 꼽힌다. 다탄두 ICBM은 동시 타격이 가능해 요격이 어렵고, 고체연료 ICBM은 액체연료보다 연료 주입시간이 단축돼 사전 징후 포착이 어렵다.
북한이 미사일 시험발사 등 무력도발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다만 북한이 미국 대선 전 미국이 설정한 ‘레드라인’을 넘지 않을 것으로 보여 무력시위보다는 ‘전략무기 공개’ 관측에 힘이 실린다.
서욱 국방부 장관은 지난 7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북한의 ICBM, SLBM 공개 가능성에 대해 “전략 무기들을 (동원해) 무력시위를 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미사일 발사, 핵실험보다는 무기 공개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는 관측에 동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