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지난해 9월 16일 경기 파주의 돼지 사육농가에서 처음 발생했다. 20여일 뒤인 10월 3일에는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바이러스가 처음 검출됐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야생멧돼지와 사육 돼지에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전염병으로, 치사율이 최고 95~100%에 이른다. 바이러스가 정이십면체 껍질 두 겹으로 둘러싸여 있어 생존력이 강하고, 껍질을 이루는 단백질의 특징이 밝혀지지 않아 아직 치료법과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6일 환경부와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9~10월 사육 돼지에서 14건의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후 11개월 넘게 추가 발병이 없다.
하지만 경기 파주, 강원 철원 등 접경지역 내 야생멧돼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3일 야생멧돼지에서 처음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후 현재까지(9월 28일 기준) 총 745건이 발생했다.
지역별로는 화천이 285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이어 연천 282건, 파주 98건 순이었다. 최근 한 달간은 강원 북부 지역인 화천군, 춘천시, 양구군, 인제군에서 주로 발생했다.
지난해 10∼12월 1일당 0.6건이었던 발생 건수는 올해 1∼4월 1일당 4.4건으로 급증했다.
올해 1∼4월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빠르게 늘어난 데는 겨울철 먹이 경쟁과 교미기 개체 간의 접촉으로 개체 간 전파가 빨라졌기 때문이란 게 환경부의 분석이다.
발생지역도 지난해 10∼12월은 대부분 파주시, 연천군, 철원군의 민통선 내 또는 인접지역이었지만 올해 1∼4월에는 화천군, 양구군, 고성군 등으로 확대됐다.
환경부는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발생한 2018년 8월부터 예찰과 멧돼지 포획 강화 등 국내 유입 차단에 주력해 왔다.
국내 발생 직후에는 관리지역 설정과 포획전략 수립, 광역울타리 619.9㎞ 구축 등 직접적인 대응에 나섰다.
또 폐사체 수색팀을 직접 운영하고 포상금제도로 지역 주민의 신고를 유도해 감염원이 될 수 있는 폐사체를 제거했다. 발생지역 확대에 따라 발생 초기 150명이었던 하루 평균 투입 인원도 4월 이후 286명, 9월 347명으로 확대했다.
환경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과학적 분석을 토대로 현장 집행력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구간별로 울타리 관리원을 배치하고, 상시 감시가 어려운 구간에는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설치하기로 했다.
수색 인원의 위치확인시스템(GPS) 정보를 분석해 수색의 정밀성을 높이고, 멧돼지 서식 정보와 지역별 발생상황에 맞는 포획전략을 통해 멧돼지 개체 수를 줄여나갈 방침이다.
박연재 환경부 자연보전정책관은 “1년 간의 대응 경험과 기관 간 협력을 토대로 다가오는 겨울철 추가 확산 및 사육돼지 전파 위험성을 최소화하는 등 대응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