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3일까지 국내 주요 120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15일 밝혔다.
응답 기업(96개사, 응답률 83.3%) 가운데 51.0%는 하반기 세계 경제 성장세는 상반기보다 성장세가 둔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다’라는 응답은 35.4%, ‘상반기보다 성장세가 빨라질 것이다’라고 응답한 기업은 13.5%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 및 진정 여부’를 세계 경제의 불안 요인으로 지적한 기업은 90.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하반기 국내 경제는 ‘상반기와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예상하는 기업이 전체 응답 중 43.8%로 가장 높았다. 다만, ‘상반기보다 악화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도 42.7%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상반기보다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13.5%에 불과했다.
코로나19 영향 속 올해 하반기 국내 경제에 가장 부담을 줄 위협 요인으로 ‘수출 경기 둔화’라고 지적한 기업이 26.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 정부 정책 중 가장 잘하고 있는 분야로 국내 기업들은 ‘코로나19 대응(75.9%)’이라고 응답했다. 정부 정책 중 가장 못 하는 분야로 국내 기업들은 ‘부동산 시장 및 가계대출 규제(22.7%)’라고 답했다.
노동분야와 관련,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기업들 대부분은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반드시 필요하다’ 39.4%, ‘다소 필요하다‘ 52.1%로 응답기업의 91.5%가 최저임금 인상과 관련해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반면, ‘지금이 적절하다’는 응답은 8.5%에 불과했다.
적정한 내년 최저임금 인상 폭에 대해서는 ’동결‘해야 한다는 응답이 54.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해고자·실업자의 노조 가입을 허용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국제노동기구(ILO) 기본협약 비준은 노동시장에 ‘부정적이다’라는 응답과 ‘매우 부정적이다’라는 응답이 각각 47.3%와 8.6%로 나타나는 등 부정적이라는 응답이 55.9%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경영 변수 중 가장 우려되는 요인은 ‘코로나19 확산’이라고 응답한 비중이 70.8%로 가장 높았으며 코로나19 사태로 발생하는 경영상 애로 사항이 ‘매출감소(24.1%)’와 ‘영업기회 축소(24.1%)’라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경영위기 극복방안으로 ‘신사업 진출 등 사업구조 재편’이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이 37.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를 위해 정부의 시급한 지원 정책은 ‘기업 규제 완화’라고 응답한 기업이 39.2%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리쇼어링과 관련, 해외사업장 국내 복귀 계획 여부를 물어보는 질문에서 응답 기업의 77.1%가 ‘국내 유턴계획 없다’라고 응답했다. 21.7%는 ‘국내 여건이 개선되면 고려할 수 있다’, 1.2%는 ‘국내 유턴 고려하고 있다’ 등으로 답했다.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가장 시급한 것은 ‘규제 개혁’이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이 4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반기 경영실적이 ‘예상에 다소 못 미쳤다’라고 응답한 기업 비중이 34.4%로 가장 높았다. ‘예상보다 매우 나빴다’는 19.4%로 응답 기업의 53.8%가 예상보다 나쁘다고 전했다.
경영성과가 예상보다 미흡했다고 응답한 기업(53.8%)이 제시한 이유는 ‘수출 부진’ 45.8%, ‘내수 부진’ 43.8%, ‘비용 증가’ 10.4%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하반기 경영목표에서 매출과 영업이익을 확대할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각각 67.3%, 46.2% 수준을 보였다.
하반기 기업활동의 우선순위로 ‘비상경영체제 유지’라고 응답한 기업이 42.6%로 가장 많았다. 그 외로 ‘수익성 향상’ 38.3%, ‘매출 증대’ 11.7%, ‘신사업 진출’ 5.3%, ‘투자 증가’ 1.1% 순으로 응답했다.
하반기 기업의 자금 사정이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다’라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 65.6%로 가장 비중이 컸다.
신유란 현대연 선임연구원은 "사상 초유의 코로나19발 경기침체를 극복하고 하반기 경기 회복 국면으로 안착하기 위해서 단기 경기부양책과 중장기 성장 잠재력 확충 전략이 혼재된 경제운용방향에서 벗어나 경제 현안들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경제 정책의 로드맵 구축이 필요하다"며 "주력산업 경쟁력 제고뿐만 아니라 경제 선순환 구조의 출발점인 기업 투자 활성화에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경제 정책에 대한 정부와 기업 간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정책의 효율성 확보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