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경북 안동에 위치한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의 김수정 농업 교사가 화상회의 애플리케이션 '줌(ZOOM)'에 접속한 기자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 원격 수업을 진행했다.
코로나19 지역감염 우려가 계속되면서 초·중·고등학교는 오는 9일부터 온라인 개학을 한다.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걱정과 우려는 학생과 학부모, 교육 현장, 정부가 모두 한마음이다. 개학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원격수업을 준비하는 현장은 여전히 시행착오로 범벅이었다. 한창
원격수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도가 높아지자 교육부는 언론을 대상으로 실시간 수업 시연회를 했다. 일일 고등학생이 돼 김수정 한국생명과학고 농업 교사의 '전특작 재배 작물의 파종 육묘' 수업을 들으며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원격수업을 체험해봤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해 접속하는 방법은 스마트기기와 인터넷만 있다면 간단하다. 교사가 화상채팅 앱을 사용해 접속 URL을 생성하고, 이를 학생들과 만든 단체 그룹 채팅방에 올리면 학생들이 접속할 수 있다.
하지만 출석 확인부터 녹록지 않았다. 일부 학생들은 소리가 나오지 않아 본인의 출석을 부르는 상황임을 인지하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기기에 문제가 있는 학생들은 마이크 설정을 여러 차례 확인하거나 노트북 대신 스마트폰으로 접속해 수업에 참여했다. 김 교사는 학생들은 스마트폰으로 접속하는 비율이 훨씬 높다고 했다.
실제 온라인 개학이 이뤄진 후에도 이런 문제는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교육부는 온라인 개학 후 이틀을 오리엔테이션 기간으로 정했다.
우여곡절 끝에 수업을 시작했다. 김 교사는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에게 필기할 부분 등을 짚어주며 소통을 시도했다. 발표도 시킬 수 있다. 클래스123의 제비뽑기 기능을 사용해 뽑힌 학생에게 "비료를 어디서 살 수 있을까요" 등을 질문하고 대답을 들었다.
이날은 시연을 위한 자리여서 30분만 수업을 진행했다. 수업 말미에 김수정 교사는 "필기한 내용을 카카오톡 채팅방에 올려달라"고 주문했다. 학생들이 사진을 올리면 필기 내용을 확인하고 피드백을 해준다.
하지만 수업 중 학생이 유튜브를 보거나 게임을 하는 등 딴짓을 해도 교사가 이를 알아차리기 어려워 보였다. 또한 수업에 집중하지 않고 있는 것을 알아차리더라도 달리 어떻게 할 방법은 없다.
김 교사는 "발표를 시키거나 필기 내용을 점검하고 수업 마지막엔 간단한 퀴즈를 내 수업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비록 얼굴을 반만 보여주거나, 카메라를 켜는 시간을 따로 만들지 않아 얼굴을 보여주지 않는 학생도 있지만, 사제 간의 '라포르(rapport·신뢰 관계)' 형성에 문제는 없다고 했다. 김 교사는 "오늘도 원격수업 시연을 한다고 했더니 힘내라고 해줬다"며 "아직 얼굴도 못 본 제자들이지만 애틋했다"고 말했다.
김 교사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이 전혀 어렵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줌을 사용한 지 열흘도 되지 않았다. 초등학교 교사인 동료가 소개해 알게 됐다"며 "평소에 쓰던 원노트 등을 활용하지만 PPT로만 수업을 해왔다면 PPT를 띄워 놓고 강의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국생명과학고에서 실시간 수업을 하는 교사는 2~3명 정도다. 이날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실시간 동영상 강의 연수를 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