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생산 수익성이 3년 연속 증가 추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백미 20kg을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비용이 전년 대비 소폭 하락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9년산 논벼(쌀) 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논벼 순수익률은 32.9%로 전년 대비 0.5%p 증가했다.
연도별 논벼 수익성은 2014년부터 3년 동안 산지쌀값 하락으로 감소하다가 2017년부터는 3년 연속 증가세로 돌아섰다. 순수익률은 2016년에 21.2%로 저점을 찍었으며 2017년 29.1%로 반등한 뒤 2018년 32.4%, 2019년 32.9%로 증가했다.
지난해 쌀 20kg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된 직·간접적인 비용은 평균 2만9172원으로 전년 대비 0.6% 감소했다. 경작 면적당 논벼 생산비용도 감소했다. 10a(에이커, 1000㎡) 당 논벼생산비는 77만3205원으로 전년 대비 2만3211원(-2.9%) 줄어들었다.
직접생산비는 노동비용, 간접생산비는 토지용역비가 줄어들면서 논벼 생산비에 영향을 미쳤다.
쌀 생산량이 줄어들고 산지쌀값이 하락하면서 10a당 논벼 총수입은 115만2580원으로 전년대비 2만5634원(-2.2%)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산지쌀값은 4만7500원으로 2018년 4분기 대비 1.9% 하락했다.
10a당 논벼 소득률은 57.9%로 전년 대비 0.1%p 하락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순수익률은 32.9%로 전년대비 0.5%p 상승했다.
경영주의 나이 별로는 70세 이상이 10a 당 83만5000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50~59세가 73만2000원으로 가장 낮게 집계됐다. 경영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위탁영농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전북(84만5000원), 강원(79만8000원), 충북(79만1000원)은 전국 평균인 77만3000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남은 73만5000원으로 생산비가 가장 적었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19년산 논벼(쌀) 생산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논벼 순수익률은 32.9%로 전년 대비 0.5%p 증가했다.
연도별 논벼 수익성은 2014년부터 3년 동안 산지쌀값 하락으로 감소하다가 2017년부터는 3년 연속 증가세로 돌아섰다. 순수익률은 2016년에 21.2%로 저점을 찍었으며 2017년 29.1%로 반등한 뒤 2018년 32.4%, 2019년 32.9%로 증가했다.
지난해 쌀 20kg을 생산하기 위해 투입된 직·간접적인 비용은 평균 2만9172원으로 전년 대비 0.6% 감소했다. 경작 면적당 논벼 생산비용도 감소했다. 10a(에이커, 1000㎡) 당 논벼생산비는 77만3205원으로 전년 대비 2만3211원(-2.9%) 줄어들었다.
쌀 생산량이 줄어들고 산지쌀값이 하락하면서 10a당 논벼 총수입은 115만2580원으로 전년대비 2만5634원(-2.2%) 감소했다. 지난해 4분기 산지쌀값은 4만7500원으로 2018년 4분기 대비 1.9% 하락했다.
10a당 논벼 소득률은 57.9%로 전년 대비 0.1%p 하락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순수익률은 32.9%로 전년대비 0.5%p 상승했다.
경영주의 나이 별로는 70세 이상이 10a 당 83만5000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50~59세가 73만2000원으로 가장 낮게 집계됐다. 경영주의 연령이 높아질수록 위탁영농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전북(84만5000원), 강원(79만8000원), 충북(79만1000원)은 전국 평균인 77만3000원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남은 73만5000원으로 생산비가 가장 적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