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포체는 그녀의 찻잔에서 파리를 조심스럽게 건져내어 밖으로 가지고 나간다. 이후 회의장에 돌아온 린포체는 기쁜 목소리로 그녀에게 속삭인다. “파리는 이제 아무 문제 없을 겁니다.” 린포체는 파리를 버리러 나갔던 것이 아니었다. 린포체는 파리를 나무 잎사귀 위에 올려놓고 파리가 날갯짓을 할 때까지 지켜보다가, 들어와 기쁜 표정으로 조애나에게 얘기한 것이다. 린포체와 조애나의 기준이 달랐다. 조애나는 아무리 생태를 중시하는 환경운동가이지만 그녀의 기준은 자기에게 있었고, 모든 생명을 자기 몸같이 사랑하는 린포체의 기준은 그 파리에 있었다. 그렇기에 조애나는 자신의 기준에서 파리 한 마리 찻잔에 빠졌다고 그까짓 것에 마음 상해야 할 자신이 아니라며 ‘노 프라블럼’이라고 한 것이며, 찻잔에 빠진 파리의 생명이 자칫 위험하다고 느낀 린포체는 파리를 나무 잎사귀에 올려놓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이를 지켜본 것이다. 그리고 파리가 살아나서 조만간 날아갈 것이라고 기쁜 마음으로 조애나에게 소식을 전한 것이고··· 린포체의 환하게 빛나는 얼굴을 보며, 그 순간 조애나는 자신이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깨달았단다. 자기 자신은 노 프라블럼이지만 찻잔 속 파리의 입장에서도 노 프라블럼인지는 생각하지 못했던 것이다.
당신의 기준은 지금 어디에 있는가?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기준이 자기 자신에게 있지 않은가? 그렇기에 인간이 버린 폐수로 강의 물고기가 죽어나가도, 지금도 지구 어딘가에서는 제대로 먹지 못하고 치료를 받지 못해 많은 사람들이 죽어나가도 그저 그런가 할 뿐 아닌가? 조애나는 그래도 환경운동가이기에 ‘노 프라블럼’이라 하기라도 한다. 그렇지만 자기의 기준만을 절대적으로 생각하는 많은 사람들은 남의 기준에 무감각하고, 오히려 자기와 기준이 다른 사람들이 ‘빅 프라블럼’이라며, 이런 빅 프라블럼은 제거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는 것 아닌가?
오늘날 세상의 모든 문제는 자기 중심의 기준에서 비롯된 것이다. 자기 중심의 기준에서 벗어나자! 요즈음 우리나라가 이렇게 시끄러운 것은 도무지 자기 중심의 기준에서 벗어날 생각이 없기 때문이다. 교수신문이 작년 말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는 ‘공명지조(共命之鳥)'이다. 우리가 좌우 진영으로 갈려 자기의 기준과 아집에서 상대를 죽이고 자기만 살려고 하면 결국 우리 모두 죽는다. 어리석은 자들이여! 우리가 공명지조라는 걸 그대들은 모르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