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로 거주지를 옮기는 시민이 많아지면서 전체 인구도 조만간 1000만명 아래로 떨어질 전망이다.
17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서울 인구는 1004만9607명이다. 내국인이 976만5623명, 등록 외국인이 28만3984명이다. 1988년 이후 최저치다. 서울 인구는 줄곧 감소세를 2005년 1030만명으로 떨어졌다가 2006년 증가세로 돌아섰다. 2010년 정점을 찍은 뒤 계속 감소하고 있다. 내국인은 계속 줄어서 2016년 1000만명이 깨졌고 이후에도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서울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는 141만 명으로 14.4%이다. 2005년 노인 비율이 7%를 넘으면서 고령화사회에 진입한 지 13년 만에 고령사회가 됐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총인구의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분류하고 있다. 노령인구 증가 추세를 고려하면 2026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서울시는 예상했다.
서울시 자연증가(출생자-사망자)는 계속해서 줄어드는 추세다. 1992년 14만5000여 명 증가했으나 지난해 1만3000여 명 증가에 그쳤다. 출생자는 급격하게 주는 데 비해 사망자는 소폭 증가하기 때문이다.
최근 3년간 서울 전출자가 전입보다 연 평균 8만 명 많다. 이를 고려하면 올해 말이나 내년 상반기에 서울 인구가 1000만 명 아래로 떨어질 전망이다. 서울 인구는 1988년 1000만 명대에 진입했었다.
지난해에는 46만여 명이 서울로 전입하고 57만여 명이 전출해 순 전출 인구는 11만 명이었다. 순 전출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13만5216명), 전입이 많은 지역은 경상도(2만5321명)였다.
서울시가 지난 7월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조사 결과를 보면, 39.6%는 인구 감소가 "자신에게 미치는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다. '부정적'은 37.9%, '긍정적'은 22.5%였다. 40대에서 부정적 의견이 많았고, 20~30대에서는 다른 세대에 비해 긍정적 의견이 많았다. 인구 감소로 좋아지는 분야로는 자연환경(44.7%), 주거(43.1%), 교통(37.9%), 교육(30.0%) 순으로 응답했다. 그러나 사회(60.9%), 복지(59.4%), 국방(47.5%), 경제(47.0%) 분야는 인구 감소가 지속될수록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평가됐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서울시 인구가 1000만 명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처럼 급격한 인구변화를 감안해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