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부터 한·미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까지 숨가쁜 외교일정을 소화한 문재인 대통령이 1일 하루 연차를 내고 휴식을 취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향후 북·미 간 비핵화 해법과 4차 남북정상회담 등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구상에 주력한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의 판문점 깜짝 회동 과정에서 '조연'을 자처하며 촉진자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
특히, 김 위원장이 판문점 회동을 마치고 군사분계선에서 한·미 정상과 헤어지는 순간 문 대통령의 손을 꼭 잡고 사의를 표한 사실이 알려지며,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이의 신뢰가 재차 확인됐다는 평가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도 향후 북·미 간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문 대통령에게 중재자 역할을 당부하기도 했다.
북·미는 실무협상을 통해 구체적인 비핵화 로드맵에 합의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 북·미 정상회담을 성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문 대통령과 한국 정부의 '중재자' 또는 '촉진자'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됐다. 북·미 간 실무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 양측의 대화와 타협을 끌어내야 한다.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힘을 얻기 위해선 북·미 실무협상이 어느 정도 진전이 있어야 하고, 남북관계 역시 보다 더 긴밀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북·미 정상이 만나기 전에 남북 정상이 먼저 만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는 9월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미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 그 전에 4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려야 한다는 것이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8, 9월 정도가 아마 4차 정상회담 시점이 아닐까 싶다”며 “김정은 위원장도 올해 안에 성과를 내야 할 필요가 있다. 작년 4월에 경제 건설 총력 집중 노선을 천명했는데 실질적으로 지금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또 트럼프 대통령(재선 도전으로)도 마찬가지고 하기 때문에 저는 4차 정상회담은 올해 안에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상회담 장소는 서울 또는 평양이 되겠지만,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약속이 유효한 만큼 연내 방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오는 11월 25~26일 이틀간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 위원장이 참석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비핵화 로드맵에서 북한의 영변 핵시설 폐기를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의 입구'로 보는 문 대통령과 '하나의 단계일 뿐'이라고 선을 긋는 트럼프 대통령이 개성공단 재개 등 제재완화 문제에 있어서도 의견차가 크다는 점은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큰 걸림돌이다.
통일부 안팎에선 4차 남북 정상회담의 성사는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재개’ 여부가 핵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또다른 촉진자이자 중재자 역할을 자임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역할 중복도 변수다. 북한은 중국을 북·미 간 비핵화협상의 지렛대로 삼을 가능성이 크다. 일단 봉합됐지만 미·중 무역전쟁 역시 북미-남북관계를 흔들 수 있는 변수로 꼽힌다.
문 대통령은 북·미 정상의 판문점 깜짝 회동 과정에서 '조연'을 자처하며 촉진자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
특히, 김 위원장이 판문점 회동을 마치고 군사분계선에서 한·미 정상과 헤어지는 순간 문 대통령의 손을 꼭 잡고 사의를 표한 사실이 알려지며,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이의 신뢰가 재차 확인됐다는 평가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도 향후 북·미 간 비핵화 협상 과정에서 문 대통령에게 중재자 역할을 당부하기도 했다.
북·미는 실무협상을 통해 구체적인 비핵화 로드맵에 합의하고, 이를 토대로 다음 북·미 정상회담을 성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문 대통령과 한국 정부의 '중재자' 또는 '촉진자'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됐다. 북·미 간 실무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 양측의 대화와 타협을 끌어내야 한다.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이 힘을 얻기 위해선 북·미 실무협상이 어느 정도 진전이 있어야 하고, 남북관계 역시 보다 더 긴밀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북·미 정상이 만나기 전에 남북 정상이 먼저 만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오는 9월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미정상회담이 열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어 그 전에 4차 남북정상회담이 열려야 한다는 것이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8, 9월 정도가 아마 4차 정상회담 시점이 아닐까 싶다”며 “김정은 위원장도 올해 안에 성과를 내야 할 필요가 있다. 작년 4월에 경제 건설 총력 집중 노선을 천명했는데 실질적으로 지금 상황은 나아지지 않고 있다. 또 트럼프 대통령(재선 도전으로)도 마찬가지고 하기 때문에 저는 4차 정상회담은 올해 안에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상회담 장소는 서울 또는 평양이 되겠지만,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 약속이 유효한 만큼 연내 방문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오는 11월 25~26일 이틀간 부산에서 열리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김 위원장이 참석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비핵화 로드맵에서 북한의 영변 핵시설 폐기를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의 입구'로 보는 문 대통령과 '하나의 단계일 뿐'이라고 선을 긋는 트럼프 대통령이 개성공단 재개 등 제재완화 문제에 있어서도 의견차가 크다는 점은 남북정상회담 개최에 큰 걸림돌이다.
통일부 안팎에선 4차 남북 정상회담의 성사는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재개’ 여부가 핵심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또다른 촉진자이자 중재자 역할을 자임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역할 중복도 변수다. 북한은 중국을 북·미 간 비핵화협상의 지렛대로 삼을 가능성이 크다. 일단 봉합됐지만 미·중 무역전쟁 역시 북미-남북관계를 흔들 수 있는 변수로 꼽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