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핵심 '보안'…2022년 14조원 규모로 키운다

2019-01-08 16:39
  • 글자크기 설정

IP카메라 비밀번호 의무 변경 등 안전한 IT기기 사용환경 조성

정부가 8일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정보보호산업 발전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사진은 경찰청이 지난해 11월 IP카메라를 무단 접속해 사생활을 침해한 피의자 9명을 검거한 후 해킹 시연을 선보이는 모습.[사진=연합뉴스]


8일 개최된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는 정보보호산업의 발전을 위한 중장기 계획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민간부문 정보보호 종합계획 2019'를 통해 4차 산업혁명 시대 민간부문의 사이버안전을 확보하고 정보보호산업 발전을 통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이버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중장기 계획을 수립했다.
최근 랜섬웨어 공격, IP카메라 해킹 등 다양한 사이버사고가 발생해 국민적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또한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글로벌 보안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국내 정보보호 산업의 경쟁력 미흡으로 시장 확보에 어려움이 큰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경제 발전을 뒷받침하고, 국내 보안기업의 혁신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사이버안전망 확대 △정보보호산업 경쟁력 강화 △정보보호 기반 강화 등 3가지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으로 사이버 침해대응 체계를 고도화하고 사이버 위협에 대한 사전 예측 및 조기 차단 능력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오는 2월부터 IP카메라 비밀번호 설정 의무화, IoT 취약점 점검 시스템 구축 등 국민 생활 속으로 확산되는 IT기기의 안전한 이용환경을 조성한다.

스마트공장, 디지털 헬스케어, 자율주행차 등 빠르게 스마트화되는 전통산업의 사이버안전 기준을 마련하는 한편 지역·중소기업, 국민 다수가 이용하는 ICT 서비스 등 보안 취약 부문에 대한 지원과 점검을 확대해 보안 사각지대가 없는 촘촘한 사이버 안전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정보보호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SW사업 대가 산정 가이드'를 개정해 정보보호 분야 제값받기 과제를 해결하고 공정한 시장 요건을 조성한다. 5G 기반 ICT 융합 신서비스 분야의 우수 보안모델을 개발하고 실증해 신수요를 창출하며 '사이버보안 빅데이터 센터', 코리아 IT 펀드 등을 통해 투자를 활성화하고 정보보호기업의 성장 환경을 마련한다.

기존 네트워크 중심의 정보보호 법제를 '융합' 분야까지 확대할 수 있도록 정비하고 기술 대응 위주의 정보보호 정책연구에 피해구제 등 사회·경제적 측면을 보강해 나갈 것이다.

4차산업혁명 시대 핵심 인프라 보호 기술 연구개발에 2019년 619억원을 지원하고 2022년까지 AI보안, 융합에 따른 신규 보안서비스 분야의 전문 인력을 양산하는 한편 국내외 협력체계를 공고히 한다.

정부는 2022년까지 적극적인 과제 추진을 통해 융합보안 신시장 창출로 국내 정보보호 시장규모를 약 50% 확대해 2022년 14조원을 달성한다. 이와 함께 일자리 1만개 창출, G2급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 등의 성과를 도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4년간 8500억원의 예산 투입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
언어선택
  • 중국어
  • 영어
  • 일본어
  • 베트남어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