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출생아 수가 2만 명대 중반을 기록하며 월간 기준 역대 최소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반면 사망자는 여름철 폭염에 노인 사망자가 늘어나면서 사상 최대로 치솟았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출생아 수는 2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달(2만9400명)보다 8.2% 줄었다.
전년 동월 대비 출생아 수는 2015년 11월의 1.1% 증가를 끝으로 32개월째 내리막을 걷고 있으며 지난 4월부터 4개월 연속 2만 명대 출생아 수를 기록하고 있다. 출생아 수는 월별 특성 차이가 있어 통상적으로 같은 달끼리 비교해 추이를 파악한다.
올 1~7월 출생아 수는 19만8700명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21만7500명)보다 8.6% 줄었다. 지난해 기록했던 연간 기준 사상 최저 기록 경신이 유력하다. 지난해 출생아 수는 35만7800명로 사상 처음으로 40만명을 밑돌았다.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원인은 주 출산연령대인 30대 여성인구 및 혼인이 줄고 있기 때문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특히 올해의 경우 사상 최악의 출생아 수를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더 심각한 수준을 보이면서 연간 출생아 수도 사상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출산은 줄고 있는 반면 사망자는 증가 추세다. 7월 사망자 수는 2만38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600명(7.2%) 증가했다. 통계청은 7월 사망자 수가 크게 늘어난 것에 대해 고령화로 인한 노인 인구 증가와 함께 올해 기록적인 폭염으로 7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2도 가량 높아진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중장기 근본대책보다 출산지원금, 양육수당 등 현금지원 성격의 단기 대책에 치중한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정부는 2005년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을 만들고 이제까지 저출산 대책에 3차에 걸쳐 126조4000억원의 예산을 쏟아 부었다. 문재인 정부도 지난해 24조1000억원을 투입했지만 출산율은 되레 뒷걸음질쳤다.
서울 소재의 대학교수는 "저출산은 청년 취업난, 양육·교육비 부담, 주거문제, 가임여성 감소 등이 복합적으로 얽힌 문제"라며 "청년 일자리를 늘리고 주거와 보육·교육, 경력단절 방지 등 삶의 질을 개선해 젊은이들이 결혼해서 아이를 낳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