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장과 산업보호 그리고 박삼구 회장’
이 세 가지 요인은 금호타이어의 해외 매각을 어렵게 만드는 대표적인 이유다.
◆“금융 보다 산업논리 우선”
단순히 금융논리로 보자면 채권단은 금호타이어 매물을 가장 높은 가격으로 쳐주는 기업에게 매각하는 게 맞다. 더블스타는 지난 1월 약 9550억원 규모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금호타이어 주주협의회가 상표권 사용 논란에도 더블스타에 최대 2700억원의 차액을 보전해주고, 더블스타가 1500억원의 매각가 재조정을 요구해도 끝까지 매각을 성사시키려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금융보다 산업논리가 우선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재계 관계자는 “과거 금융논리만을 내세운 국적 1위 선사 한진해운의 몰락을 본보기로 삼아야한다”며 “연매출이 3조원에 달하고 70년 가까이 한국경제의 희노애락을 함께한 금호타이어가 100억원대 유동성을 위기로 해외에 매각 되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국회와 정부도 공감하고 있다. 장병완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장(국민의당 의원)은 “지역경제와 일자리를 위해 금호타이어 매각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면서 “금호타이어가 중국에 매각될 경우 기술 격차가 거의 사라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고용보장도 문제다. 더블스타는 금호타이어 인수 후 고용 보장기간을 2년으로 밝혔다. 이에 반해 임직원과 노동조합, 협력업체, 대리점주도 잇따른 ‘해외매각 반대 시위’로 힘을 보태고 있다. 금호타이어 임원들은 더블스타로 매각 시 ‘전원사퇴’ 카드를 내세웠으며 노조는 “전 구성원의 고용 보장과 국내 공장 안정화를 담보해 달라”고 투쟁의지를 밝혔다.
◆ 박삼구 회장, 그룹 재건에 사활
박 회장은 금호타이어 인수에 있어 그룹 재건의 ‘명운’을 걸었다. 그는 올 초 “올해 금호타이어 인수를 통해 그룹 재건을 마무리 해야한다”며 강한 의지를 내비친 바 있다.
금호타이어는 박 회장이 22세 때 사회에 첫 발을 내딛은 회사이며 올해 입사 50주년을 맞았다. 금호타이어를 선대회장 때부터 일궈와 애착이 남다르다. 현재 10조원대 금호아시아나의 연간매출 중 30%를 책임지는 그룹의 허리역할을 하고 있기도 하다.
그는 현재 ‘스텔스 모드’다. 함내 소음을 최대한 줄여 적이 탐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스텔스기처럼 ‘물밑작업’에 집중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 회장은 “순리대로 될 것”이라며 금호타이어에 대한 끈은 놓지 않고 있다.
한중우호협회, 한국방문위원회 등 외부활동에도 힘을 싣는 이유도 그룹의 경영활동에 윤활유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활동으로 박 회장은 국내는 물론 중국, 일본 등 ‘정재계 마당발’로 통한다. 향후 매각가 재설정으로 박 회장의 우선매수권이 부활할 경우 약 8000억원대 규모 자금 마련이 관건이다. 그의 정치력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재무적투자자(FI)를 모집하거나 다른 기업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방안도 고려된다.
또 다른 변수인 금호 상표권 문제 해결도 임박했다. 채권단은 30일까지 금호그룹에 상표권 조건 수용 여부를 회신해 달라고 요청했다. 금호아시아나 관계자는 “채권단 요청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고 곧 의사를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