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형 기자 = 정권 출범 초반 80%를 상회하던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2개월째 접어들면서 70%대로 고착하는 추세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대표 이택수)의 정례조사(5월 셋째 주∼7월 둘째 주) 결과,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최저 74.2%∼최고 84.2%’ 사이를 오간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평가는 ‘최저 10.0%∼최고 18.6%’에 머물렀다. 역대 대통령의 지지율 공식인 ‘초고말저’(初高末低) 현상이지만, 역대 대통령 수치와 비교해도 고공행진 지지율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文대통령 84.1% 찍은 뒤 70%대 고착
17일 ‘리얼미터’의 문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 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5월 셋째 주(15일∼19일 조사·22일 공표) 81.6%로 첫 테이프를 끊은 뒤 같은 달 넷째 주(22일∼26일 조사·29일 공표) 자신의 지지율 최고치(84.1%)를 찍었다.
이는 집권 초 ‘파격 인사’와 트럼프식 행정명령인 ‘업무지시’ 등으로 개혁에 강한 드라이브를 건 데 따른 시너지효과였다. 당시 부정평가 비율은 10.1%와 10.0%에 불과했다. 긍정평가가 부정평가보다 8배 이상 높았던 셈이다.
그러나 이내 지지율이 하락했다. 문 대통령은 5월 다섯째 주(5월29일∼6월2일 조사·5일 공표) 정례조사에서 78.1%를 기록, 직전 조사 대비 6%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현재까지 ‘리얼미터’ 조사상 가장 많이 떨어진 수치다. 부정적 평가는 같은 기간 4.2%포인트 오른 14.2%였다. 문 대통령의 부정평가 비율이 4%포인트 이상 오른 것도 이때가 처음이다.
당시 정국은 문재인 정부 내각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본격화하던 때였다. 이낙연 국무총리를 필두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등 문재인 정부 인사들은 대통령의 고위공직자 5대 비리(병역 면탈·탈세·부동산 투기·논문 표절·위장 전입) 인사 배제 논란에 휩싸이면서 야권의 총공세에 시달렸다.
◆대치정국 장기화 때 지지율 추가 하락 불가피
여기에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국방부 고의 누락 파문이 정국의 메가톤급 변수로 격상했다. 문 대통령은 당시 “매우 충격적”이라며 사드 추가 반입에 관한 진상조사를 전격 지시했지만,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은 이를 고리로 문 대통령에게 파상공세를 펼쳤다.
70%대로 한 번 떨어진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미세 조정’만 있을 뿐, 80%대로 재진입하는 데 실패했다. 문 대통령은 6월 첫째 주(5일과 7∼9일 조사·12일 공표) 78.9%로 소폭 반등했지만, 6월 둘째 주(12∼16일 조사·19일 공표)부터 6월 넷째 주(26∼30일 조사·지난 3일 공표)까지 ‘75.6%→74.2%→75.3%’ 등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부정평가 비율은 ‘17.4%→18.6%→17.3%’로 조사됐다.
한·미 정상회담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등 외치에 나선 문 대통령 지지율은 7월 첫째 주(3∼7일 조사·10일 공표) 76.6%로 재차 반등했다. 부정 평가도 16.0%로 소폭 하락했다.
하지만 이날 공표된 7월 둘째 주 조사 결과(지난 10~14일 조사)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지난주 대비 2%포인트 하락한 74.6%를 기록했다. 반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부정적 평가는 같은 기간 2.6%포인트 상승한 18.6%였다.
이는 G20 정상회의 등 외치에도 불구하고 인사 난맥상을 비롯해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추경) 처리 지연, 정부조직법 개정안 표류 등이 맞물린 결과로 분석된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수치 격차가 5.6%포인트였지만, 지지율 추세는 긍·부정률이 반대 흐름을 보였다. 향후 정국 상황에 따라 문 대통령 지지율 하락 폭이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셈이다.
한편 ‘리얼미터’ 조사는 무선 전화면접(10%), 무선(70%)·유선(20%) 자동응답 혼용 방식에 따른 무선전화(80%)와 유선전화(20%) 병행 무작위생성 표집 틀을 통한 임의전화걸기 방법으로 실시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